-
-
[세트] 마틴 에덴 1~2 - 전2권 - 추앙으로 시작된 사랑의 붕괴
잭 런던 지음, 오수연 옮김 / 녹색광선 / 2022년 9월
평점 :

이미 영화로도 나온 작품이란 점과 작가의 자전적 생애를 담아낸 내용들이 있다는 것에 궁금했던 소설이다.
어린 시절부터 가난에 찌든 삶에 적응하며 고된 뱃일과 그 밖의 노동을 하며 살아가던 20살 청년 마틴은 아서의 집에 초대되는데 그곳에서 만난 아서의 누이 루스를 보고 한눈에 반한다.
청순하고 부드러운 면을 지니고 있는 여대생인 그녀와 자신의 차이는 신분과 계급층의 구별로 더욱 뚜렷해지는 가운데 이때부터 그녀의 사랑을 얻고 가까이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펼치는 마틴의 모습은 문장의 묘사로 인해 더욱 몰입하게 된다.
기초가 없었던 탓에 책을 선택하는 과정이나 도서관에서 살다시피 읽는 데에 치중하는 그의 모습은 루스의 도움과 그녀가 원한다면 변화할 수 있다는 성실함은 어느 순간 그의 머릿속 지식 보물창고에 차곡차고 쌓인다.
이어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은 돈이 없어 일하면서도 창작에 대한 끈을 놓지 않았지만 주변들의 시선은 일은 하지 않고 놀고먹는 사람으로 비쳐 보일 뿐만 아니라 루스 또한 안정적인 직장을 얻어 함께 살 수 있는 생각을 펼쳐 보인다.

잭 런던의 일생을 고대로 답습하듯 마틴이란 인물을 통해 그린 이 작품 속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로맨스가 남녀의 감정을 통해 서로가 사랑을 느끼는 과정에서 계급차이를 함께 그렸다는 점이다.
자라온 환경이 달랐기 때문에 그녀가 꿈꾸는 안정적인 동화 속 사랑에 비해 거칠고 모든 노동자들의 삶을 거쳐온 마틴이 생각하는 사랑의 모습은 반대로 이어지지만 그 와중에서도 그녀를 향한 사랑은 언젠가는 작가로 성공해 그녀에게 안착하는 모습을 기대하면서 고된 삶을 살아가는 마틴의 모습이 오히려 이성적이면서도 현실적인 모습처럼 비친다.

하지만 그의 높은 지식 흡수는 그가 자신이 생각했던 부르주아 계층의 위선적인 모습을 드러낸 점들을 알아가는 것과 성공하기 전과 성공 후에 그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모습들을 보면서 오히려 가감 없이 솔직하게 드러낸 노동자 계급들이 더욱 가깝게 느껴질 듯처럼 보인다.
그렇다고 이미 노동자들과는 자신의 지식수준 차이로 인해 예전처럼 돌아갈 수없음을 깨닫는 마틴이 부르주아 계급에서 어울린다는 것도 힘들었다는 점은 '사랑'에 대한 진심을 믿었던 그에게 루스란 여인은 한낱 환상에 젖은 사랑의 형태와 감정을 갖고 있었던 여인이란 것을 알게 된 부분들로 인해 그를 더욱 괴롭게 만든다.
- 마틴은 사랑에 고결함이라는 환상을 덧입혔고 그 환상은 본디 실재하지 않는 것이기에 필연적으로 깨어지고 만다. 깨어진 환상의 파편에 찔리고서야 마틴은 깨닫는다. "이제 그는 알았다, 자기가 정말로 그녀를 사랑한 것이 아니었음을. 그가 사랑한 사람은 이상화된 루스, 자기 자신이 창조한 천상의 존재, 자기가 쓴 연애 시의 환하게 빛나는 정신이었다. 부르주아인 실제의 루스, 부르주아들의 모든 결점과 가망 없이 왜곡된 부르주아 심리를 가진 그녀를, 그는 사랑한 적이 없었다." - 2권, p 231
사랑했기 때문에 사랑하는 이가 원하는 모든 말과 행동을 배우려 노력했던 그, 브리슨덴이 던진 외침이나 교훈적인 경고들은 마틴에겐 어쩌면 루스보다 더욱 인생의 지도자로서 좋은 사람이란 생각이 들었다.
성공을 위해 모든 것을 이겨내고 참았던 그에게 다가온 보상들, 그러나 정작 보상으로 누릴 수 있는 기회들이 많았다는 점은 되려 마틴에겐 인생의 한 고지에 도달했을 때 닥쳐오는 허망함과 이기적인 사람들의 모습들로 인한 분노가 그의 영혼을 소멸시켰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예상치 못한 결말 부분에 이르기까지 그의 삶을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소설이라 그의 성공을 좀 더 일찍 지지하고 믿어줬더라면 그는 세상에 대한 시선을 포용력 있게 바라볼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진실하고 순수한 사랑이 있다고 믿었던 마틴의 삶, 이런 모든 점들을 작품을 통해 자신만의 문학적 재능을 펼친 그의 선택이 여전히 선명하게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