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홍여우전 - 구미호, 속임수의 신을 속이다
소피 김 지음, 황성연 외 옮김 / 북폴리오 / 2024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8/pimg_7136731164546983.jpg)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소피 김의 작품, '주홍 여우전.'-
한국신화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판타지 장르로서 새롭게 만나볼 수 있는 작품 속 배경은 1992년 한국 수도 서울과 수원 그 어디쯤이 배경이다.
1452년(1700살에 해당)을 살면서 무수히 많은 사람의 간을 먹음으로써 더 이상 먹는데 부족함을 느끼지 못하는 일명 '주홍여우'라 불리는 김하니는 은퇴한 후 크리처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일하는 아르바이트생이다.
한편 천계의 신인 형 환인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킨 속임수 신이라 불리는 석가는 요괴를 잡아들이는 임무를 완수하면 천계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 아래 형사로서 일하는 까칠남이다.
인간과 요괴가 함께 살아가는 신신시 카페에서 둘은 앙숙 아닌 앙숙처럼 만나게 되고 인간 두 사람의 사망과 간이 없어진 정황을 시작으로 사건을 조사하는 석가의 임무는 점점 넓혀간다.
일명 암흑 세상을 꿈꾸는 어둑서니와 주홍여우를 잡아들이는 일을 완수한다면 빠른 천계로 직행할 길을 마련할 수 있다는 환인의 조건부 계약을 승낙하면서 두 가지 일에 몰두하게 된 석가, 여기에 자신의 생명 위협을 느낀 하니는 석가의 보조부하로서 자청하며 함께 일하게 된다.
어둑서니를 쫓는 동시에 자신의 행방에 대한 수사를 방해함으로써 안전을 꾀한다는 하니의 계획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환인의 동생이 있다는 가정 하에 풀어나가는 한국신화의 이야기는 구미호와 신의 만남을 가진다는 설정으로 펼쳐지는 흐름이란 신선한 소재답게 한국 전래동화와 신화의 조합, 여기에 둘 사이의 로맨스가 몽글몽글 피어나는 과정에서 서서히 변화하는 자신들의 마음을 확인하는 과정이 사람들의 모습처럼 그려진다.
읽다 보면 처음에 분명 구미호와 신이란 소재가 점차 보통의 두 연인들의 모습으로 생각될 만큼 서서히 물들어가는 과정은 물론이고 어둑서니의 정체를 밝혀내는 과정에서 구슬을 뿜어내며 혼신의 힘을 다해 석가를 구하려는 구미호 하니의 심경이 현대적인 감각을 느끼면서 읽는 즐거움을 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8/pimg_7136731164547004.jpg)
특히 한국신화와 전설을 바탕으로 혼합된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드라마 도깨비, 구미호던은 물론 좀비, 더 나아가 암흑세계의 주자인 어둑서니란 명칭에 어울리는 음울한 배경 설정과 끔찍한 죽음의 실체를 묘사하는 과정을 잘 그려낸 것이 인상 깊었다.
한국고유의 느낌을 살린 한국정서를 포함해 로맨스 판타지물 속에 추리와 코미디까지 버무린 혼합장르로 즐길 수 있는 페이지터너 작품이라 이런 장르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아마도 드라마로 만나볼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해보지 않을까 싶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