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시간과 만나는 법 - 강인욱의 처음 만나는 고고학이라는 세계
강인욱 지음 / 김영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이 나는 클래스]를 통해 익숙한 교수님의 책을 두 번째로 접해본다.


전 작인 '세상 모든 것의 기원'에 이은 이번 고고학이란 학문과 만나는 시간은 좀 더 다채로운 세상 속으로 펼쳐진 세계로 안내한다.


인디아나 존스를 떠올릴 만큼 고고학이란 학문이 주는 관심은 일단 흥미롭다는 것이다.



우리가 살던 이전의 세계를 통해 지금까지 우리의 발자취를 더듬어 가는 역행의 시간은 흥미롭다는 말 외에도 학문적으로 고고학이란 것이 나라마다 어떻게 융합하고 분리되면서 이뤄지는지에 대한 출발을 기점으로 겉으로 보인 고고학자들의 연구가 훨씬 의미 있게 다가온다.






사피엔스, 총. 균. 쇠를 연상 떠올리게 하는 인문학적인 관점부터 인류의 역사, 고고학 발굴에 대한 딜레마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고고학이란 이런 것이구나를 알아가는 시간을 통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유물이나 인골, 벽화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들이 재미를 더해준다.



과거 고고학이 인간의 손에 의해 (지금도 그렇지만) 땅속의 변화와 더불어 발굴과 동시에 그 흔적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에서 부딪치는 기술적인 어려움, 고고학의 범위가 먼 과거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전체가 유물과 유산이 깃든 곳이란 점은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고고학이 겪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결지대에서 발견되는 유골이나 유물의 보존에 대한 어려움, 개발지역에 대한 건설 이전에 시행하는 해당 지역의 고고학 관련 발굴에서 마주하는 경제와의 전쟁, 여기에 디지털 발전으로 인해 과거보다 수월하게 자료를 저장하는 속도는 빨라졌지만 반대로 빠른 기계의 발전 속도 때문에 이미 저장한 자료를 볼 수 없게 되는 세상이 오기도 한다는 불리한 점들을 지적한다.



이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인간의 기억 속에 간직된 내용을 손수 필기하고 기록하면서 메모하는 중요성이 되려 중요하다고 한 내용은 아무리 발달된 고도의 기술이 도움을 주지만 결국 인간의 손에 의해 보존되고 이어져야 한다는 기본은 변하지 않음을 느끼게 한다.








특히 AI의 발달로 인해 고고학의 세계도 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변화의 바람이 이미 시행되고 있다는 점과 그렇더라도 인간의 기본적인 시스템에 의해 움직일 수밖에 없는 범위는 분명 있다는 것에 위안을 얻기도 하는데, 점차 갈수록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대한 의도가 자국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변질로 변해가는 것 같아 진정한 인류의 문화유산을 대하는 자세 또한 생각해 볼 부분으로 여겨졌다.



고고학의 세분화된 분야도 이번에 알게 됐고 유해발굴단에 고고학 기술이 전쟁이란 이상적 조합으로 이뤄져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인상 깊게 남는다.



알면 알수록 발굴을 통해 보존할 가치가 있는 인류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을 함께 알아가는 시간을 주는 책,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