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곽선생뎐 싱긋나이트노블
곽경훈 지음 / 싱긋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쌀 한섬을 가볍게 지탱할 만큼 튼실한 허벅지, 찢어진 눈매의 날카로움, 오뚝한 콧날과 얇은 입술, 햇볕에 그을린 갈색피부를 지닌 검은 두건과 검은 옷을 입은 남자, 그의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게 되니 그가 바로 왕의 사냥개인 암행총관 곽곽이다.



왕의 명에 따라 아비의 뒤를 이어 관직을 세습받았으니 그가 왕의 명으로 전국을 돌아다니며 법을 어긋나게 행하고 있는 자들을 처벌하는 권력을 지녔으니 당연하다고 할 만한 인물이다.



쥬와 와, 그리고 카락을  중심으로 나라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가상의 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소설은 한 편의 무협지를 연상시킨다.



피가 낭자하게 흐르고 냉철하다 싶을 만큼 결코 용서라는 것을 모르는 자, 그가 구해준 흑도의 도둑 두목인 조근과 같은 혈족이지만 가문에서 쫓겨나고 내수교를 믿는 곳에서도 파문된 곽훈이란 실제 이름을 지닌 후야와 함께 칼과 몽둥이를 분신 삼아 펼쳐지는 행보들이 그려진다.




열교를 믿고 농업과 엄격한 신분제를 통해 자신들의 권력을 잡은 쥬의 백색당파의 구파들을 몰아내고 상군과 혈교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정치를 이루려는 왕세자의 계획에 따라 흑도를 비롯해 죽전, 한벌, 암도, 상군에 이르기까지,  명분은 색목인들을 무사히 압송하는 일을 핑계로 이들 지역을 다스리는 군주들 및 악행을 서슴지 않던 지들을 처벌하는데...




여러 가지 기존에 읽은 작품에서 봐왔던 익숙한 장면들을 연상시키는 듯한 장면과 배경들을 중심으로 종교, 정치, 세습되는 신분제, 노예들의 비참한 삶들을 두루두루 엮어 바람 잘날 없는 현장을 그린 내용들이 각종 현란한 무술의 자세와 공격들을 통해 숨 가쁘게 흐른다.




무자비하게 상대를 죽이고 웃음을 보이는 곽곽의 행동은 왕의 사냥개란 신분이 결코 즐겁지만은 않은 주어진 운명 속에 자신의 눈에 결코 올바른 정치를 한다고 믿을 수없는 정치가들에 대한 비난을 마음에 간직한 채 이와 연관된 이들을 처단하는 방식은 솔직히 정당성 있는 행위라고 생각되는 이면 뒤에 그 표현장면이 껄끄럽게 다가왔다.




먹고살기 힘들어 도둑이 될 수밖에 없었던 조근의 시선조차도 곽곽의 행동을 이해할 수없을 정도의 극에 달한 모습은 그가 왜 그렇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좀 더 세밀한 심정을 드러낸 부분들이 미흡했던  점도 아쉬움을 남기고 계속 되풀이돼 듯한 문장들이 문맥상 힘을 빠지게 한 부분들이 보였다.




아마도 저자는 한 나라의 국력을 유지하기 위한 근간의 노력이 왕을 주무르는 백생당파란 한 정파로 인해 나라가 어지럽고 일반 백성들을 납치해 노예로 팔아넘겨 이를 남기거나 서양 무기를 취해 왕에게 도전하는 지방 영주들을 처단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나라다운 모습은 무엇인가, 결코 쉽게 해결될 수 없는 한계들을 그린 듯 보인다.




권력의 힘이 사방으로 난무하는 계급의 위력과 힘없는 백성들의 굶주림, 여기에 현대의 종교를 연상할 수 있는 각 종파들의 교리와 행보들, 그리고 무력은 무력으로써 다스릴 때 효과를 더 크게 볼 수 있다는 식의 묘사는 무협의 칼잡이가 연신 떠올랐고 이는 이 작품을 읽는 개인취향마다 선호하는 바가 다르게 와닿을 것 같다.




특히 개인적인 생각보다는 큰 목표를 두고 움직였다고 생각되던 곽곽이 내린 판단 여파가 어떻게 이어질지에 대한 끝맺음이 매끄럽게 끝나지 않았던 점, (물론 권력의 쟁탈이라 요원한 것도 있긴 하지만...) 조근의 행방도 그려지지 않았던 점은 아쉬움을 남긴다.




사내들의 소리 없는 외침을 필두로 몸을 통해 그들만의 세계를 무예로 드러낸 장면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만화로 보는 무협지와는 또 다른 재미를 느끼며 읽을  작품이다.








 *****출판사 도서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