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만든 가난 - 가장 부유한 국가에 존재하는 빈곤의 진실 Philos 시리즈 25
매슈 데즈먼드 지음, 성원 옮김, 조문영 해제 / arte(아르테)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메리칸드림'이란 말로 대표되는 미국-


고국을 떠나 보다 나은 삶의 터전을 이루기 위한 이민의 행렬들이 지금의 미국이란 발판을 이뤘지만 과연 지금의 미국은 정말 모든 계층들이 고루고루 저마다의 삶에 만족하며 살고 있는 나라일까?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에 이 책이 전하는 의미를 미국이란 나라에 한 해 읽어본다는 것에 의미를 두었지만 책을 읽고 난 후에 든 생각은 비단 이 책이 미국만이 아닌 우리를 향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부유한 국가에 존재하는 빈곤의 진실을 추적한 이 글의 저자는 실제 열심히 벌지만(벌 수밖에 없는 상황들) 생활의 전반적인 여유를 찾을 수없는 사람들을 찾아가 그들의 삶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한다.




가난에 대한 저자가 정리한 분석에는 예리하면서도 날카로운데 가난이 주는 연쇄고리처럼 따라붙은 신체적인 고통은 물론이고 가난이 물질적 결핍과 만성통증, 투옥과 우울증, 중독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태의 모습을 드러낸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읽을 때는 가난을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만으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 봉착을 드러낸다.




질 낮은 일자리, 업무 외주화(대표적으로 세계적인 그룹들의 경우 거의가 외주를 통해 운영하고 있다.), 기술진보에 따른 착취, 로비는 물론 노조, 수수료에 이르는 복합적인 요인들은 현실 속에 우리가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갈 권리에 대한 회의감마저 느끼게 한다.




저자는 이러한 빈곤 문제에 있어 그 주요 초점을 가난한 사람에게 맞춰 연구를 통해 이런 사실들을 열거했는데 특히 이러한 빈곤의 다른 한편에서 이익을 얻는 이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이 강하게 와 닿았다.




-  가난의 원인을 이해하려면 가난한 사람들 너머를 들여다봐야 한다. 특권과 풍요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가 스스로를 살펴봐야 한다. 우리-안정되고 보장된 삶을 사는 사람들, 집이 있고 대학을 나온 사람들, 보호받고 운이 좋은 사람들-가 이 모든 불필요한 시련에 연결되어 있는 게 아닐까? 이 책은 이 “우리”를 중심에 놓고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으려는 나의 시도다. - P 39~40




그동안 보도를 통해 오르내리는 기사들이 연일 떠올랐고  저자는 가장 많은 권력과 자본을 쥐고 있는  사람들이 빈곤에 가장 많은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소위 말하는 소수의 최상위층이 전체를 지배한다는 말이 연상되듯 한 말일 수도 있고, 그들만이 아닌 우리들 자신에게도 우리가 속한 사회의 이면을 들여다볼 것을 전하는 저자의 설득력은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배경은 미국이지만 쉽게 다가오는 글 속에 묻어난 문제 제시들이 현재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모습들을 비교하면서 보게 됐다.




조문영 교수가 해제에 쓴 글을 통해서 더욱 실감 있게 와닿은 글은 말할 것도 없고 나와는 무관하다는 식의 관심을 덜 두기보다는 사회의 문제들에 좀 더 깊은 관심을 둘 필요가 있음을 느낀다.




* 만약 빈곤이 철폐된 사회가 오고 노조파업,  노동자 산재등의 뉴스가 등장하지 않은 세상을 상상해 보고 그런 사회가 왔을 때 저녁 뉴스에서는 첫 번째 속보로 어떤 소식을 전하게 되겠는가 묻는다면, 상상이라 했지만 이런 완벽한 세상이 오기는 할까? 에 대한 생각과 그렇게 오더라도 어느 한쪽에서는 여전히 양극화는 더 세심하게 분류되고 진행될 수  있는 면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와 경제가 발달할수록 부와 가난이란 갭의 상층이 더는 벌어지지 않는 사회,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한 발전된 사회를 금방 이루기란 쉽지 않겠지만 이런 제기의 문제를 통해 좀 더 성숙된 사회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는 경각심을 울려주는 책이다.






*



*****출판사 도서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