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그리고 가정 - 평등을 향한 여성들의 기나긴 여정, 2023 노벨경제학상
클라우디아 골딘 지음, 김승진 옮김 / 생각의힘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버드 경제학과 석좌교수인 클라우디아 골딘의 저서인 책에서 다룬 내용은 제목 그대로 커리어와 가정이라는 두 가지의 길과 그 안에서  성별 소득격차는 왜 벌어지는가에 대한 고질적인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을 제시한다.




과거보다는 오늘날 여성들의 대학진학률도 높고 취업률도 높지만 같은 동기로 출발했을 때는 별 차이가 없는 시점이 어느 순간 격차가 벌어지는 사회적인 현상은 왜 생기는 것인가에 대한 물음들이 시간을 거슬러 100여 년 간의 대졸 여성들의 삶과 경력, 그리고 다시 문제에 부딪치면서 맞닥뜨린 부분들을 들려준다.




시대가 요구하는 흐름들 속에 여성의 사회진출은 인식의 변화 흐름을 따라 과거의 가정에만 안주하던 생활에서 많이 벗어났지만 그래도 여전히 불평등의 근원에 대한 물음들은 따라다닌다.



저자는 이에 대해 '온콜'의 이중적인 면에 대해 말한다.



직장에서의 온콜이 자신의 성취도를 느낄 수 있다는 점에 반해 남성과 같은 출발선이라 하더라도 결혼과 출산을 거치면서 여성들은 자연스럽게 가정에서 '온콜'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이 있음을 말한다.








온콜 시스템을 기업과 개인 간의 비춰 보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비용절감 효과를, 개인 입장에서는 가정 내에서의 분업과 소득을 통해 양육까지 함께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저자는 성별 소득 격차가 남는 결과를 갖는다고 말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저자가 기존의 타 책에서 주장하는 데서 벗어나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문제점으로 본 점이 인상 깊었다.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분배에 치중했던 주제들에서 나아가 사회 시스템의 문제라고 본 것은 기타 다른 예시들을 통해 많은 생각들을 들려준다.




여성들이 갖고 있는 능력의 최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돌봄의 영역과 경제 영역이 상호의존적이란 저자의 말엔 공감을 가는 부분인 반면 성별 소득 격차의 원인이 '탐욕스러운 일자리, 즉 온콜이나 장시간 근무에 따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장하는 해법은 긴 시간이 필요함을 느끼게 한  것도 사실이다.









돌봄의 대상확대와 그 여건에 들어맞는 정책들이 국가에서 어떤 취지의 방향을 가지고 나아갈 지에 대한 희망이 빨리 이뤄지길 희망하는 기대감이 들게 한 책이다.




자칫 어렵다고 느낄 수 있겠으나 일반 독자들에게 전달할 부분들의 요약을 쉽게 다루고 있어 생각보다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고 배경이 미국을 하고 있으나 성별소득 격차의 원인은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느끼고 있는 부분이란 생각이 들었다.




여성이 가정에서의 역할과 직장 내에서의 역할을 고르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의 발전과 개혁, 경력단절로 인한 사회적인 시스템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닌 자신의 능력을 언제든지 발휘할 수 있는 사회를 기다려본다.






*****출판사 도서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