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 - 지성사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색인의 역사 Philos 시리즈 24
데니스 덩컨 지음, 배동근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생활전반에 걸쳐 사용하는 인덱스-



사실 알게 모르게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인덱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의외로 크다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는 입장에서 각종 독서기구가 필요하지만 그 가운데 제일 사용빈도가 높은 것이 인텍스, 바로 색인인데 나의 경우엔 절대적이다.(^^)



책을 접하게 되면 우선 목차부터 살펴보고 뒤 편의 색인을 보고 난 후 읽기 시작하는 편인데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만난 인덱스에 대한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로웠다. (특히 뒤 편 번역가의 글은 꼭 읽어보세요.)



이 책은 13세기 유럽 수도원과 대학, 21세기 실리콘밸리 기업에 이르기까지 색인의 역사를 들려주고 색인의 발전, 그리고 그런 변화의 흐름 속에서 책을 통해 독자와 독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번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색인의 종류가 세분화되어 있다는 사실이 놀랍게 다가왔다.



주제 색인을 비롯해 보편 색인, 풍자적 색인이라는 분류를 통해 각기 분담하고 있는 기능의 내용들을 읽다 보면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색인의 종류가 이것이구나란 것을 알게 되고 특히 용어 색인의 경우는  19세기가 끝나갈 무렵에도 이용되었단 사실과 컴퓨터 출현과 발전으로 인해 그 존재감이 더욱 뚜렷해졌다는 것을 알려준다.




특히 이 책의 가장 좋았던 점은 단순히 색인에만 머문 것이 아닌 색인 역사를 통해 이에 연관된 역사를 포함한 내용을 품고 있다는 사실이다.



일례로 3세기 무렵 지금은 사라진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알파베 24개 자모를 이용해 배열한 것이나 이후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서, 이어  로마인들이 사용하기에 이르는 과정은 색인의 추적 과정처럼 읽는 재미를 준다.




색인이 도구로 사용된 것은 13세기로 당시 글을 읽고 쓸 줄 알았던 수도사들이 자신들의 수행 과정 중에서 탁발 수사의 규모가 커지면서 대중들에게 좀 더 다가가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하기 시작되었다.







그런 가운데 다른 편에서는 색인의 기능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버린 경우를 다루고 있는바, 이는 오늘날 우리들이 검색 엔진, 동영상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가는 부분이기도 한다.



이렇듯 색인은 오늘도 여전히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부분에서 이를 활용하고 고 21세기에 들어서 소설이나 희곡에 색인이 없다는 것은 의외 아닌 당연하게 보는 편이 맞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읽으면서 현시대에 다양한 소통매체를 통해 색인이 지닌  효용성에 대한 생각들을 해보게 되고  예전방식의 색인 활용법부터 해시태그에 이르기까지 좀 더 쉽고 빠르게 전달하고 찾을 수 있는 방법으로 그 존재의 가치는 오래도록 사용될 것 같다. 




지금도 여전히 책에 필요한 인덱스를 붙이고 찾고 계시는 분들에겐 정말 유용하고 재미와 흥미를 모두 갖춘 책이라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나만의 정보 분류법이라면 책을 읽다가   좋은 구절을 메모해 두고 싶다면 인덱스를 이용해 저장해 두고 필사를 해놓거나 주기로 계획할 서류 부분 작성과 보고 작성 분야를 따로 날짜별로 분류할 필요가 있을 때 나만의 표시로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구분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것 또한 어떤 부분에서는 컴퓨터 이용이 필요할 때가 더러 있어서...





*재밌는 색인 작성자의 흔적들



 -시간 낭비 [수고하셨습니다-색인 작성자]

-유머 ['재치 있는 색인'참고;거의 다 왔어요-색인 작성자]

-실패 ['쓸데없는 일' '웃긴 색인' '울기'참고]230~235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