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미스터리 2023.가을호 - 79호
고나무 외 지음 / 나비클럽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계간 미스터리 가을호의 주제는' 단편'이다.



장편과 다르게 단편은 짧고도 굵게 다루는 내용들이 많아 독자 취향대로 선호하는 바가 다를 수 있는데 미스터리란 장르가   왜 단편 소설과 연관될 수밖에 없는지와 단편이란 형식의 발전이 잡지와 보완되는 흐름들을 다룬 첫 들어가는 내용에서 그 발자취를 따라가 볼 수 있다.




이 번호에 실린 작가들 분들의 이름들이 많이 친숙하게 다가왔다.




신인상을 수상한 무영 작가의 전 작품인 '1929년 은일당 사건 기록' 작품부터 이번 당선작인 '치지미포, 꿩을 잡지 못하고'를 통한 만남은 반가움과 함께 시대의 흐름 배경을 과거로 돌아가 다룬 점은 통일된 느낌이 든다.




김세화 작가의 '알리바바와 사라진 인형'은 코믹과 적적히 가미된 추리의 기법을 살린 글이라 기존 작품의 분위기와는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었던 새로운 감각으로,  번역가이자 SF작가이기도 한 여실지 작가의 '꽃은 알고 있다'에서 보인 능력은 앞으로 작가의 글의 발전은 어디까지인지? 에 대한 기대감이 들었다.




그런가 하면 김창현 작가의 '멸망직전'에서는 서로 반대의 목적을 지닌 자들의 액션이 눈길을 끌었고 닉네임 '엽기 부족'으로 활동 중인 홍정기 작가의 '팔각관의 비밀'은 아야츠지 유키토의 작품과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을 오마주한 내용을 치밀한 살인의 행동반경을 계산하며 그린 글이 짧지만 강했다.




이밖에도 백휴 작가의 '탐정 박문수_ 성균관 살인사건'은 지난 호에 이어 계속 이어지는 글이라 결말 부분이 어떻게 그려질지 다음호가 기다려지는 역사 미스터리로써 재미를 준다.




또한  현대사의 묵직한 주제를 통해 그린 '해녀의 아들'을 쓴 박소해 작가 글은 추리란 영역에서 잠시 손을 놓고 그 감정의 처짐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작품이다.




장편보다는 단편이 훨씬 쓰기가 힘들다고 하는데 아마 분량의 제한적인 테두리 안에서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내용을 담아내는 열정과 창작의 과정이 더 클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뒤편에 수록된 영화 '그녀의 취미생활'을 만든 하명미 감독 인터뷰와 원작 소설과 일본 드라마 '열쇠가 잠긴 방'을 다룬 내용 또한 좋았다.




한국 추리 스릴러 문학의 계보를 잇는 신인 작가들의 발굴과 그런 신인들을 비롯한 한국 추리 문학을 이끌 작가들에 대한 지지와 응원이 좀 더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좀 더 다양한 많은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품어본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