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되찾다
오카자키 다쿠마 지음, 한수진 옮김 / ㈜소미미디어 / 2023년 5월
평점 :
품절





표지에서 보인 푸른 잔디와 그네가 마냥 신나게 놀 것 같은 어린아이들을 연상시킨다.




이미지를 토대로 그린 내용상 초등학생들의 어떤 발랄한 이야기로 생각했는데, 실상 읽다 보니 현실적인 많을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 작품이었다.




여름방학이라고 해도 여전히 학교만 다니지 않을 뿐 학원에 다니느라 즐거운 방학을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 그런 아이들이 자신들의 여름 방학을 되찾기 위해 깜찍한 방법을 생각해 내니 바로 스스로 모습을 감추는 방법이다.




한두 명씩 모습을 감췄다가 2~3일 안에 모습을 드러낸다는 계획은 어른들로 하여금 귀를 기울이게 하는 한편 이 사건을 취재하기 위해 가십전문지 기자가지 출동하는 범위로 넓혀진다.





신입기자인 사루와타리와 프리랜서 기자인 사사키가 문제의 학생 집으로 오면서 취재를 시작하는 과정은 아이들이 날로 정교해지는 트릭과 행동으로 인해 생각지도 못한 흐름으로 이어진다.




처음엔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아이들의 행동이 귀엽게 다가왔는데 실상 점점 진행되는 일들의 여파가 위험을 무릅쓰면서까지 이어지는 행보에 대한 여파는 차별과 알력싸움, 여기엔 어른들의 세계 못지않은 어린아이들의 세계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지고 있었다는  현실적인 모습이란 점에서 씁쓸하게 다가왔다.





내편, 네 편이란 양 갈래로 나뉜 세계, 어린아이들 나름대로 고충이 담긴 행동이 어른들의 세계와 함께 비칠 때 추리소설로써만 대할 수는 없단 생각이 들게 한다.




-악의라곤 어디에도 없었다. 그러나 세 가지 원색이 겹쳐져서 검은색이 되듯이, 여러 가지 요소가 겹쳐지는 바람에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이 탄생하고 말았다. 그들에게도 과실은 있었다. 하지만 그것을 탓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설령 그들이 아무리 괴로워하더라도, 그로 인해 나나미가 눈을 뜨지는 않는 것이다. 돌연 사사키가 벌떡 일어났다. 그의 태도와 표정에서는 어떤 감정도 느껴지지 않았다. 나한테는 그가 빈껍데기만 남은 것처럼 보였다. - p.453





[커피점 탈레랑의 사건 수첩]으로 알려진 작가의 작품으로 우리 주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평범한 이야기를 특유의 따뜻함과 미스터리 소설로 풀어낸 작품, 아이들과 함께 읽어도 좋을 것 같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