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죽은 유대인을 사랑한다
데어라 혼 지음, 서제인 옮김, 정희진 해설 / 엘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년 전 폴란드 여행 시 방문했던 아우슈비츠 수용소는 사진에서 보던 느낌과는 체감적으로 다르게 다가온 장소였다.



역사적인 현장에 있었던 유대인들, 그들이 어떻게 죽음을 맞이했고 그곳에 있던 머리카락, 신발, 사진들은 하루종일 머리에서 떠나질 않던 기억으로 남아 머리 한편에 아픔을 간직하던 때가 떠오른다.



디아스포라 민족으로서 유대인이란 정체성은 이렇게 역사에서, 문학작품에서,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우리들에게 각인을 시켜주면서 되풀이되는 역사는 없어야 함을 일깨운다.



그렇다면 이를 인식하며 사는 오늘날, 여전히 유대인들이 다니는 유대교 회랑을 공격하고 인명 피해를 낳은 현상들과  아직도 이런 일들이 미국 내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것은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



유대인이자 소설가인 저자가 쓴 이 글은 세계 곳곳의 유대인들이 살았던 지역을 방문하거나 가상의 화면을 통해  홀로코스트에서 다루지 않았던 역사와 성경 속 이야기를 다루는 한편  이미 고인이 된 유대인들을 통한 소비하는 세상의 모습과 현시대를 살아가는 유대인들의 삶을 비교함으로써 빈 구멍들을 파헤친다.



익히 알고 있는 '안네의 일기'의 주인공 안네가 살았던 장소에서 근무하는 자가 유대교 모자를 쓰는 행동을 제지받아야 하는 상황에 대한 아이러니함, 일기가 흥행한 이유는 그녀가 죽었기 때문이며, 하얼빈이 유대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란 점과 이후 세계적인 전쟁의 영향으로 추방되거나 이용당하고 죽어가는 과정을 살핀다.




당시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민을 오게 된 유대인들 일부인 예술인이나 학자들을 도왔던 배리언 프라이의 존재 자체가 미국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미국의 정책에 반한 인물이었기에 이를 인정한다는 것은 미국 자신의 과오를 인정한다는 의미임을 밝혀낸다.




더군다나 이들 중 한나 아렌트, 샤갈 같은 이들은 자신들이  이런 도움 자체를 발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들려주는 점은 스스로 타인의 도움을 받았다는 굴욕감과 수치스러움이란 감정이 오히려 구조자들을 향한 적대감을 드러난다는 사실이 역설적으로 다가온다.



저자는 미국인이자 유대인으로서 살아가는 지금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에 하나도 관심이 없다면 그 사람들이 어떻게 죽었는지에 신경 쓰는 게 무슨 소용인가를 묻는다.



유대 회랑을 공격하고 유대인들을 죽이는 일들이 발생하는 미국에서 현재의 유대인에 대한 관심보다는 죽은 유대인들에 대한 숭배를 더 높은 관심으로 갖는 현상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그 안에서 타인을 돕는 행위와 환대를 하는 행위에 대해  스스로의 위안처럼 여기는 모습을 열두 편의 논픽션을 통해 쓴 글은 비판적이면서도 날카롭고 예리한 지적으로 꼬집는다.



 유대인을 혐오하는 것이 정상적인 일이 되어버린 현실의 사건들과 과거 유대인들의 죽음으로 남겨진 유적지나 현장의 모습들을 복원하는 일, 죽어야만 시민권을 얻는 유대인들의 죽음은 왜 죽은 자들에게만 애도와 사랑을 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저자는   “우리의 세상은 부서진 세상이다. (…) 부서진 세상을 재건하는 일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거기에는 겸손과 공감, 어떤 사람도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지 않다는 변함없는 인식이 필요하다. 그 변함없는 인식에는 실천과 경계심, 모든 야경의 밤에 깨어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 고 말한다.




이는 비단 유대인들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지금도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타인을 대하는 자세나 사회 속에서 정해진 인식틀에 갇혀 진정한 정의의 행동에 대한 생각들은 무엇인지조차 느끼지 못하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운다.




- 다른 민족 일부는 홀로코스트 박물관에 가서 슬픔을 느낀 다음 슬픔을 느끼는 자신을 자랑스러워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공식적으로 중요한 무언가를 배우게 될 것이고, 서양 문명의 한계에 대한 고급스러운 은유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문제는 우리에게는 죽은 유대인들이 은유가 아니며, 우리 아이들이 그렇게 되지 않았으면 하는 실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책을 읽은 후, 아우슈비츠 현장을 방문했던 그 시간으로  되돌아가 본다.




과거의 역사가 남긴 흔적은 현재나 미래로 나아갈 방향을 그릴 때 중요한 부분으로 참고가 되는 것도 좋지만 저자의 말처럼 홀로코스트에 대해 알수록 반유대주의가 줄어든다는 근거 없는 믿음에 대한 마케팅 차원으로 다룬 사례들은 다각적이고 통렬한 비판을 제기한 글이기에 편견을 깨는데 도움을 준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