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어의 시간 - 길 잃은 물고기와 지구, 인간에 관하여
마크 쿨란스키 지음, 안기순 옮김 / 디플롯 / 2023년 3월
평점 :
- 이 책이 전달하려는 핵심은 연어가 세렝게티에 서식하는 어떤 생물에도 뒤지지 않는 고유한 특징을 지닌 훌륭한 종이므로 지구상에서 사라진다면 슬프리라는 것이 아니다. 연어는 많은 생애 단계에서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고, 스릴 넘치는 움직임을 보이고, 힘 있고 단호하면서 용감하게 이동하며, 영웅적이면서 비극적이기도 한 시적인 삶을 거친다. 모두 사실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연어가 살아남지 못하면 지구 또한 생존할 희망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회(膾) 음식 중에서 연어를 즐기는 분들이 많다.
은은하고 하얀 여리한 광택과 붉은 기가 도는 싱싱한 상태로 즐길 수 있는, 날것에 대한 인식이 익숙지 않은 서양인들에겐 신기하게도 비치지만 이 존재에 대한 글을 읽는다면 다시금 바라보게 되지 않을까 싶다.
자신이 살아온 터전을 벗어나 목숨 걸고 바다로 향하는 긴 여정, 다시 회유해 고향에 돌아오는 독특한 습성을 지닌 연어에 대한 존재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비밀을 풀지 못한 채 다만 가능성에 대해서 추측만 할 뿐이다.
저자가 쓴 '대구'와 마찬가지로 연어와 우리들이 살아가는 지구와의 관계, 결국은 생태계 관련 이야기를 집중조명해 다룬 글은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생애 일부는 담수호와 강, 일부는 바다에서 보내는 소하성 어종인 까닭에 지구 생태학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을 제공하는 연어, 연어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회복의 길을 모색한 현시점을 다룬 글은 결국 인간의 손을 거치는 순간 모든 것이 예전의 상태로 돌아가기 힘듦을 보인다.
산업혁명이 문명의 진보라는 기치 아래 화석연료, 숲의 채벌과 농업발달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 수력발전소와 댐 건설, 기후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과정은 연어 생태계에 직격탄을 날렸다.
빙하기 이후 두 대서양과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두 종의 연어가 갈리면서 독자적인 환경적응력을 지닌 연어의 생존력은 유럽인들의 식탁에 오르는 음식으로 남획 수준까지 이르고 북아메리카 정복 이후 모피와 함께 연어를 무분별하게 잡은 결과물은 안일한 결과물로 생각하기엔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구'에서도 보인바 있는 인디언족들의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의 방식을 이해하지 못한 유럽인들의 오만한 발상, 양식장, 부화장을 만들고 자연으로 돌아가게 하는 방법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서식지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인지할 수밖에 없는 진행방식이다.
하지만 폭발하는 인구증가와 농경지의 부족사태에 따른 해결방안으로 이런 방법을 생각하지 않을 수없는 현재의 문제점들은 어디 연어에만 한정된 문제일까?
지금도 여전히 많은 종들의 멸종이 인간들의 손에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생각한다면 비단 이 글에서만 보인 단순한 문제가 아님을 여실히 느끼게 한다.
한 마리의 연어가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오기까지엔 자신의 모든 것을 건다.
생애의 각 단계별 찬란한 자태의 신비한 색깔은 물론이고 스릴마저 느끼게 하는 천적들과의 싸움, 인간들의 플라잉 낚시, 무엇보다 가장 비극적인 것은 기억 속에 저장된 고향을 다시 찾아갈 길이 없을 때 생존의 위협은 차후 우리의 생존권, 나아가서 지구와도 연결된다는 점을 잊어선 안될 것이다.
자연 연어보다는 양식 연어가 대세인 오늘날, 연어의 생존 기원을 시작으로 종의 기원, 인류와 지구의 역사, 기후변화는 물론이고 연어의 다양한 요리법, 연어의 활동범위인 태평양부터 대서양과 북유럽, 캄차카 반도에 이르는 종횡무진 다루는 저자의 통찰력이 빚은 글은 여전히 펄쩍 뛰어오르는 연어를 보는 듯하다.
점차 소멸해 가는 종을 살리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과 비용이 발생한다.
과거의 자연 연어가 다시 제 고향으로 돌아오기까지 우리들은 실수를 딛고 다른 방향을 모색해야 함을, 저자는 걱정스러운 마음을 담아 쓴 글이 와닿는다.
- 파괴를 멈춰야 합니다. 문제는 연어가 아닙니다. 우리 인간이 문제입니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