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들의 침묵 (리커버 에디션)
토머스 해리스 지음, 공보경 옮김 / 나무의철학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원작을 능가하긴 어렵다는 것을 대부분 생각하고 있는 바, 원작에서 주는 세밀한 부분들이 영상에서 볼 때는  타임 한계라는 것과 맞물려 그만큼의 감성 표현들에 대한 제한적인 것을 감안하고 보게 된다.



처음 영화를 통해서 봤을 때의 그 강렬함과 소름이 쫙 끼쳤던 기억을  다시 떠올리는 작품, 한니발 렉터 시리즈로 알려진 작품 '양들의 침묵'이다.



FBI 수사관 클라리스와 하키 마스크가 씌워진 채 체인으로 묵여있는 한니발 렉터 박사와의 대면을 시작으로 살인범에 대한 추적이 시작되는 고도의 긴장감을 유지한 진행이 압권이 이 작품이 리커버로 새롭게 출간됐다.



기존의 이미지보다 훨씬 내용을 함축적으로 드러낸 표지가 눈에 띄는데 식인 살인마 렉터 박사의 주도면밀한 클라리스의 어두운 내면의 세계를 끌어내린 것도 흥미롭지만 살인범을 잡기 위해 자신 아픈 기억을 담보로 렉터의 도움을 요청하는 클라리스 요원의 밀당이 이 작품을 가장 높게 평가할 수 있는 장면들이 아닌가 싶다.



살가죽이 벗겨진 채 강에 버려져 발견된 여인, 지금 영상을 생각해도 눈살이 절로 찌푸리게 되는 알코올 저장병에 담긴 신체일부, 자신이 무슨 죄를 지었는지에 대한 무감각(?)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사람의 심리를 들어놨다 하는 자신만의 능력에 대한 믿음인지는 모르겠으나 보통 사람들의 인식으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캐릭터 탄생은 이후 많은 타 작품들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한다.




특히 평범한 사람들의 연쇄살인사건에는 사건해결을 하기 위한 행동 자체에 진행의 과정이 설득력 있게 다가오지 않다가 고위층 인사의 딸이 납치되면서 보다 더 강한 제스처를 보인 경찰관서를 비롯한 타 기관들의 행보는 저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사회적으로도 비난의 눈길이라 사건에도 차별이 있을 수 있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범인을 추적해 가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살인마 헥터를 지금도 이해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그가 도와줘야만 해결할 수 있는 사건이란 한계는 긴장을 좀체 놓지 못하면서 이끌어나간 진행이 여전히 강렬하다.




도대체 범인의 이런 행동 양식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나? 에 대한 물음부터 지식을 갖춘 헥터 박사의 행동 또한 많은 물음들을 던질 수밖에 없는 연구대상이다.




오랜만에 다시 접한 이 작품은 지금도 유명하지만 곧 고전문학이란 대열에 합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 “클라리스, 양들은 울음을 그쳤나?

그 울음은 아마 영원히 멈추지 않을 거야.”




당신이 사건을 해결할 때마다 양들은 한동안 축복처럼 침묵하겠지.


양들의 울음소리는 당신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고,


그 울음은 아마 영원히 멈추지 않을 거야.....


'어쩌면 같은 별들을 지향하고' 있을 테니.” 





여전히 읽으면서도 가슴이 두근거리고 무섭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는 헥터란 인물, 더군다나 작품 속에서 뚫고 나올 듯 신들린 연기를 보인 앤서니 홉킨스를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없는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