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뇌 - 인간이 음악과 함께 진화해온 방식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리하는 뇌], [석세스 에이징]을 쓴 저자의 이력이 독특하다.



학계에 몸담기 전 스티비 원더 등 가수들의 음반을 제작하고 세션 연주자로서 일한 경험 때문인지 이번엔 '노래하는 뇌'라는 제목으로 독자들을 만난다.



오랜 세월 동안 인류가 살아오면서 노래가 주는 느낌은 각 개인마다 다르지만 음악을 극히 싫어하는 사람은 드문데, 저자는 이에 대해 음악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 다룬다.




저자는 우정, 기쁨, 위로, 지식, 종교, 사랑의 노래라는 방식을 통해 인간의 문명과의 관계, 즉 문명이 만들어진 과정을 보여준다.







태어나면서 인간의 뇌는 언어란 것을 배우고 말하는 능력이 완전히 갖추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뇌 메커니즘으로 본다면 언어와 예술을 발달시킬 수 있게 만든다고 한다.



이는 점차 인간들의 필요에 의해서 발달된 형태의 음악으로도 살펴볼 수 있는데 힘든 일을 할 때 노동요나 엄마가 들려주는 자장가, 슬플 때 듣는 슬픈 노래들에 이르기까지 노래를 부름으로써 인간들이 갖는 심리적인 안정은 이에 영향을 받았다는 느낌이 든다.







근본적으로 우리 인간들에게는 노래와 춤을 추면서 심신 단련을 하는 것이 진화에 적응하기 때문이라고 한 부분은 과거 수세기 전부터 내려오는 전통의식을 통해서나  각 개인별 감정전달(좋거나 기쁘거나 행복한 기분)을 통해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 인간의 음악은 위계 구조와 복잡한 구문을 갖고 있고 우리는 이런 제약 안에서 작곡한다. 음악은 언어나 종교와 마찬가지로 다른 종과 공유하는 요소와 인간만의 요소를 두루 갖고 있다. 인간만이 특정 목적을 가진 노래, 다른 노래에 들어 있는 요소로 이루어진 노래를 작곡할 수 있다. 인간만이 거대한 레퍼토리의 노래가 있다(일반적인 미국인은 천 개가 넘는 곡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인간만이 여섯 가지 형태에 해당하는 노래들의 문화적 역사가 있다. - p.330



지금도 그렇지만 한글이나 영어 알파벳을 배울 때 음률을 섞어 노래하듯이 배우는 것, 조선 왕들의 승계차례를 외울 때의 음률들이 생각나는 것은 인간들의 삶에 끼친 음악의 영향이 많음을 깨닫게 된다.



음악은 우리들 삶에 있어 마음을 움직이고 새롭게 발전된 장르로써의 변화를 주도하며 인류 문명의 흐름까지도 바꾸었는지를 알 수 있다는 데에 그 변천사를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책이자 음악이 없다면 이 세상은 무척 심심할 것 같단 생각이 든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