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물이 너를 베리라
S. A. 코스비 지음, 박영인 옮김 / 네버모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년의 흑인 아이크와 백인 버디가 어색한 인사를 나눈 곳은 장례식장-


피부색은 물론 살아온 배경 자체도 전혀 연관성이 없을 듯한 그들에겐 하나의 공통점이 있었으니 바로 그들의 아들들이 결혼한 사이란 점이다.


아버지로서 아들들의 성 정체성을 받아들이지 못한 채 불화로 끝내버린 안타까움은 두 번째,  그들의 죽음이 자연사가 아닌 누군가의 총에 맞아 얼굴 확인조차 쉽지 않은 상태로 죽음을 맞이했다는 점이다.


경찰수사마저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않자 버디는 아이크를 찾아가 사건을 함께 조사하길 말하지만 아이크는 거절한다.


그런던 중 묘비가 훼손되고 묘욕적인 말들로 가득한 사건을 마주치자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던 아이크는 버디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자신의 유전을 받고 태어난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인륜의 정을 끊을 수없는 뿌리를 내리고  그 후대를 이어간다.



하지만 만약 보편적인 정서에 부합되지 않는 정체성을 지닌 자식이라면? 누구나 인정할 수 없는 시선과 사회적인 제약, 모멸감을 받고 음지에서, 더군다나 커밍아웃을 하지 않는 한 드러내놓고 지내지 못하는 삶을 살아가는 자식이라면 부모의 입장은 어떠할까?



교도소를 드나들면서 아들의 성장시기를 놓쳤고 그런 아들의 삶을 잘못된 길이라고 여겨 신체적 벌을 내림으로써 고치려 했던 아버지들,   두 사람의 인생은 결국 화해조차 시도해보지 못한 채 이별을 맞는 모습들은 부성애에 대한 인간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려내면서 진범 추적의 진행을 그린다.




특히 전작인 '검은 황무지'작품 속에 녹아있는 흑인들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백인들보다 두 배 이상의 노력을 해야만 하는 그들의 삶에 대한 일침을 가한 글들에 이은 이번 작품도 새로운 인생을 살기 위해 철저하게 자신을 누르고 평범한 삶을 이룬 아이크의 노력과 배운 것 없는 백인 출신 버디란 두 인물들의 계급적 대립을 통해 저자의 사회적인 모순과 극빈부란 삶에 대해 조명한다.



"맞아요. 흑인이란 사실은 숨길 수 없죠. 하지만 내가 누구인지를 사람들에게 숨겨야 한다는 그 사실이 바로 핵심이에요. 킹 목사도 말했잖아요. 어딘가에 있는 불평등은 어디에나 있는 평등에 위험이 된다고요." - p 221



자신들의  숨겨왔던 폭력에 대한 발산을 아들들의 죽음을 통해 드러낼 수밖에 없었던 늙은 아버지들의 행동은 아들의 정체성 자체를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후회, 자식들이 행복하다면 그뿐이란 사실을 뒤늦게야 알게 되는 후회의 감정은 읽는 동안 추리미스터리란 작품 속에 인간들이 느끼는 '사랑'에 대한  본질을  생각해보게 된다.



"분명한 사실?"

"그 정상이라는 게 내 기준에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 아들이 아침에 눈을 뜰 수만 있다면, 그 옆에 누가 함께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것 말이오." - p 322



저자는  추리에서 느낄 수 있는 박진감 넘치는 액션은 물론 진범에 다가서기까지의 진행을 흑백갈등을 넘어 성소수자들의 삶에 비중을 두면서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변화를 초점에 맞춰 그렸다는 점은 추리미스터리 소설의 또 다른 맛을 제대로 느껴보게 했다.





- 정작 중요한 것은 내 자신 그리고 내가 지금 가진 것들이라는 겁니다. 사람들이 진짜 제 모습대로 살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 진짜 자신의 모습대로 산다는 것이 누군가에게 사형선고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거예요. - p 381 









전작인 '검은 황무지'에서 주는 시원하고 짜릿한 속도감 넘치는 액션으로 인해 힐링이 되었다면 이번 작품은 부성애를 느낄 수 있는 후회와 아들에 대한 사랑, 그들의 사랑을 인정하게 되는 흐름들이 연민과 아픔을 동반한 작품이란 점에서  2021년에 이어 같은 상들을 휩쓸게 된 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아니나 다를까 할리우드가 이런 소재를 놓칠 리가 없지.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탑건 : 매버릭'의 프로듀서 제리 브룩하이머 제작으로 영화화가 확정되었다고 한다.



과연 흑백의 아버지 역할로 누가 캐스팅될지 궁금하기도 하고 폭력에 대한 미화가 아닌 그 정당성에 부정할 수 없는 부분이 이해가 되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