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섹타겟돈 - 곤충이 사라진 세계, 지구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올리버 밀먼 지음, 황선영 옮김 / 블랙피쉬 / 2022년 12월
평점 :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도 지구환경과 생태계에 관한 경고와 이에 대한 사례들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심각함을 알려주는 책들이 많이 출간된 한 해가 아닌가 싶다.
인류세라는 말이 익숙해지고 기후온난화에 따른 변화, 여기에 '곤충'에 대한 이야기를 더하면서 실제 관련책들을 읽는 동안 그 체감은 더욱 가깝게 느껴진다.
얼마 전 '침묵의 지구'란 책을 통해서도 그동안 징그럽고 익숙지 않는 곤충에 대한 중요성을 직시한 글들을 접해본 내용들은 이 책의 제목인 '인섹타겟돈'(곤충 + 아마겟돈 합성어)이란 새로운 관련 용어의 탄생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많은 생각들을 던진다.
곤충은 인간에게 알려진 생물종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지난 4억 년 동안 다섯 번의 대멸종에서 살아남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생존한 종의 한 부분이자 자연의 생태계에 그 역할을 충실히 하는 종이란 사실은 지금은 무색하게도 놀랄만한 속도로 죽어가고 있다고 말한 대목들은 통해 사슬먹이의 체계의 불균형을 초래함은 물론 그 여파로 인간의 삶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한다.
언뜻 보면 곤충이 우리들 삶에 무슨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을 갖질 수 있지만 이들 곤충이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자연의 순환고리는 돌아가고 그 순차적인 영향은 열매부터 과실수, 식량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범위를 차지한다.
가장 흔한 사례인 벌꿀의 실종, 어린 시절 흔하게 보던 나비들과 반딧불이들이 어느 순간 쉽게 볼 수없다는 사실, 수분 매개자가 사라져 버려 과일은 물론 곡식들 중 옥수수가 인류의 마지막 식량이 될지도 모른다는 경고는 곤충이란 존재에 대해 다시 돌아보게 한다.

특히 학자들이 연구한 근거를 토대로 곤충이 사라진다면 먹이사슬, 피라미드의 균형이 깨지면서 생명체들은 하나둘 사라지질 것이고 살아남은 사람들이라도 지금의 환경과는 또 다른 변화로 인한 삶을 살아갈 수도 있다는 사실, 특히 굶주림으로 수백만 명이 겪을 수 있다는 위기는 기후 이상에만 해당되는 사항이 아닌 인류가 살아가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말한다.
징그러워서,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곤충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이들을 박멸한다는 뜻에서 해충제를 남용하고 있는 일들은 곤충과 함께 살아가려면 보다 나은 방법이 필요한 시대임을 느낄 수가 있다.
유기농 농지사용, 곤충의 서식지복원이나 산울타리 복구, 살충제 사용 줄이기, 자연보호 구역 만들기....
아무리 인간이 발전된 과학의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자연의 위력 앞에서는 작은 힘을 지닌 어린아이에 불과하다.

공존이란 이름으로 함께하며 살아가는 지구에서 인간의 무분별한 자연파괴는 그 결과가 다시 우리들에게 돌아올 수밖에 없고 그 영향은 후대 자손들에게 미친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생각의 전환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힘없고 하잘것없는 곤충이 아니라 우리들의 삶에 많은 도움을 주는 곤충이란 사실부터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것,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이 인간들끼리만의 세상이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종들이 어우러져 살아가야 함을 깨닫게 해 준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