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샤 ㅣ 페이지터너스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지음, 정영문 옮김 / 빛소굴 / 2022년 12월
평점 :
오래전 읽었던 작품, 당시 언어의 분류와 체계에 대한 관심, 여기에 디아스포라의 유대민족에 대한 연관성을 두던 차, 고유의 이디시어를 통해 작품을 쓴 아이작 싱어에 대한 작품으로 이어지던 때라 이번에 새롭게 개정판으로 만난 반가움이 크게 다가왔다.
폴란두 태생의 유대인 랍비 집안에 전통적인 유대교 가르침을 받고 자란 저자가 그린 이 작품은 당시 폴란드 내에서 살아가는 유대인들의 삶의 모습을 그린다.
20세기 초 바르샤바의 랍비 아버지를 둔 아론 그라이딩거가 작가로서 생계를 유지하고 살던 사회적 분위기는 히틀러 나치의 침공이 시시각각 닥쳐오는 불안한 시대다.
뚜렷한 작품 발표를 하지 못하고 궁핍한 생활을 하던 그에게 미국인 부자 샘 드라이만과 그의 스폰서를 받고 있던 여배우 베티를 만나면서 기회가 찾아온다.
연극 무대에 올릴 희곡 청탁을 받은 아론은 열렬한 사회주의자이자 공산주의자인 도라, 베티, 하녀, 그리고 친구의 아내인 셀리아에 이르기까지 이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희곡 쓰기에 몰두하던 중 유년시절에 놀았던 쇼샤를 만나게 된다.
기억 속에 남아 있던 쇼샤에 대한 마음이 미성숙하게 자란 신체와 정신마저도 그에겐 그녀를 본 순간 자신이 그동안 무엇을 찾아 헤매고 있었는지를 깨닫는다.
저자의 분신처럼 그려진 아론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당시의 유대인들의 삶 모습은 각 등장인물들이 지닌 본연의 욕망과 좌절, 이상주의적인 사회 구현에 몸담는 것에 대한 환상과 고통을 겪은 후에 알아가는 사상적인 회의, 여기에 각자가 지닌 꿈 꾸고 있거나 현실에서조차 혀용 되지 않는 유대인들이 갖는 나치 침공에 대한 두려움까지를 그리고 있다.
샘의 지지를 담보로 폴란드를 떠나 미국으로 갈 수도 있었을 아론이 쇼샤를 선택함으로써 안주하는 여정은 무엇이 그로 하여금 이런 선택을 내리게 했는가에 대한 저자의 글이 작품을 관통하는 역사적 시대 속에 개인 간의 마찰과 사랑을 통해 보인다.
전통적인 유대인으로서의 성장을 했던 아론(저자의 분신처럼 보인다.)이 유대민족 자체를 버릴 수 없다는 일말의 고민, 여기에 유대 신앙을 갖고 있지만 전통 의식을 의식하지 않는 자세와 세속적인 주변인들에 비해 모자라지만 그녀만이 지닌 순수한 마음을 보인 쇼샤를 통해 인간의 삶과 순수한 사랑을 안정적으로 느껴가고 있음을 그리고 싶어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모두가 자신들만이 추구하고자 한 일렬의 행동들과 유혹, 여기에 아론이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자세로 주변인들을 바라보는 관점과 자신이 갖는 선택에 대한 고민들이 단순한 문장들이지만 많은 것을 드러낸다.
시온주의자, 사회주의자, 전통 유대교와 독일어, 이디시어, 히브리어, 아람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유대인들이 살아가는 인생이 삶과 죽음이란 동전의 양면처럼 언제 뒤집어질지 모를 위태로운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살아가는 그들의 삶을 각 등장인물들의 입을 통해 철학적으로 때론 냉소적으로, 어느 시점에서는 블랙유머를 날리며 이디시어를 쓰는 유대인들의 삶을 조명한다.
쇼샤를 대표로 그린 순수성에 대한 생각은 여기에 누구보다도 쇼샤가 지닌 본연의 모습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아론이란 인물의 심리 변화뿐만이 아니라 문장 자체에서 오는 느낌들이 와닿는 것들이 많아 다시 읽어도 좋았던 작품이다.
- 어쨌든 누군가가 그냥 사라지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겠나? 삶을 살았고, 사랑을 했고, 희망을 가졌고, 하느님과 그리고 자기 자신과 씨름한 사람이 그냥 사라지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겠나? 어떻게 된 노릇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점에서 그들이 여기 있는 것만 같네. 시간이 환영이라면 모든 것이 그대로 있지 말라는 법도 없지.(중략) 시간은 앞으로는 넘길 수 있지만 뒤로는 넘길 수 없는 책이라고.
- 사람들이 삶이라고 부르는 것이 죽음이며 죽음이라고 부르는 것이 삶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