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웰의 장미 - 위기의 시대에 기쁨으로 저항하는 법
리베카 솔닛 지음, 최애리 옮김 / 반비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36년 봄, 한 작가가 장미를 심었다. 란 문장으로 시작되는 오웰의 장미-



오웰이 출간한 작품들을 생각하면 의외의 제목일 듯싶은데, 저자는 총 7장에 걸쳐 독자들이 기존에 알고 있던 오웰이란 작가에 대한 삶의 면모들을 보임과 동시에 이에 연관된 시대적인 다양한 모습들을 보인다.



장미로 떠올릴 수 있는 연관성에는 대부분 기쁨, 연인, 사랑, 달콤한 고백들이 연상되지만 이 책에서 보인 장미를 통해 다룬 거시적인 부분들은 오웰이 월링턴에 정원을 마련하고 심은 것에서 출발해 그의 생애를 관통하는 정치적인 신념, 문학, 전쟁, 이념, 기후, 노동, 여성, 인권, 유전학, 생물, 농업, 식민주의 역사에 이르기까지 그 여정을 넘나드는 흐름이 막힘없이 흐른다.



엘리트 계급에 들어가길 포기하고 노동자 계급에 들어서길 결심한 오웰의 인생 출발은 그가 쓴 작품들과 함께 그가 평생 추구하던 사회주의에 대한 정치적인 생각과 이를 넘어 장미를 통해 겉모습에만 머물러 보는 것만이 아닌 그 안에 담긴 뒷모습을 비춘다.



'위건 부두로 가는 길'과 스페인 내전 참전을 다룬 '카탈루냐 찬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인 것을 발견한 것을 필두로 저자는 그가 실제 탄광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본 열악한 환경의 노동자들 및 어린아이들의 노동력 착취, 여기에 기계적 동력이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면에서 권력을 낳은 과정을 가능케한다는 사실은 '빵과 장미'란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를 통해  예술과 여성들의 참정권에까지 이른다.







동시대를 살았던 티나 모도티가 찍은 장미, 로버트 메이플소플의 릴리 작품들을 통해 장미가 품는 이상적인 예술과 정치노선들의 이야기, 빵도 중요하지만 장미란 관념이 추구하는 주관성과 자유, 자기 결정권, 프라이버시, 독립성을 가질 때 번성하는 일종의 자유란 의미를 내포한다는 점으로 바라본 점은 저자의 글이 오웰이 추구하던 이상을 이해함을 넘어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사진들: 다음에서 발췌)




비정치적인 문학은 없다는 것과 예술 또한 어느 정도 프로파간다라고 말한 것처럼 오웰은 앤서니 블런트가 말한 부분에 반대했다.







특히 독재자 스탈린이 레몬나무를 죽지 않게 살아남도록 정원사들에게 주문했던 일화를 통해 죽은 레몬나무에 대한 책임을 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해야 했던 정원사들의 사례는 거짓말 위에 세워지는 진실은 무엇인가를 다룬  부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웰이 쓴 일기나 작품들 속에 드러낸 자신의 생각들은 오늘날 자유 민주주의에서 실천하고자 하는 평등과 민주주의, 정직성과 자유에 대한 침범을 용인하지 않는 프라이버시에 이르기까지를 생각해 본다면 어쩌면 오웰은 그 스스도 식물에 대한 사랑과 다정함을 지닌 인물이었다는 사실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전체적으로 장미를 통한 인간의 기본 욕구와 정치의 프로파간다, 여기에 장미의 아름다움 이면에 감춰진 노동자들의 고된 노동시간들을 통한 상반된 부분들을 함께 보인 많은 부분들은  저자의 탁월한 사유의 관찰로 더욱 빛을 발한다.




삶을 이상향으로 보지 않았던 오웰이 남긴 작품과 그가 가꾼 정원을 통해 우리의 미래 또한 재생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이 느껴지는 것, 지금 바로 우리가 실천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