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으로 보는 문화유산 - 유물의 표정을 밝히는 보존과학의 세계
신은주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송에서  가정에서 간직하고 있던 오래된 가보 내지는 구입한 물품에 대한 진가를 평가받는 프로그램이나 고대 유물들에 대한 방송을 접할 때면 인간들이 이뤄나간 역사적인 실체들에 대한 무한한 감동과 궁금증을 갖게 한다.



특히 박물관에 소장 중인 국보나 보물들, 석탑에 얽힌 비밀들을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3D 입체 상상도 건축물 도면이나 전 후면을 돌려보며 당 시대에 어떻게 세워지고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은 과학이 주는 발전의 이기를 충분히 느껴보게 한다.

 

이들 유산의 토대가 되는 기초는 자연 그대로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서 만드는 삶으로 중심을 이동하여 지금의 우리 역사가 되었다는 점은 역사서나 문화유산들의 비어 있는 부분들의 퍼즐을 맞추는  과정이 역사란 점, 보존과학은 퍼즐 조각의 진짜 위치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게 다가온다.






오랜 시간을 거쳐 현 세상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낸 많은 유물들 중 금제품은 고대 사회의 성격과 문화를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 가치가 높다고 한다.



황실의 귀걸이 세공의 정교한 문양이나 구리와 주석을 합금한 청동은 고대 부족의 생존을 좌우했다는 점은 그 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밖에도 어의에 담긴 색을 통해 안료에 대한 성분이나 첨성대 건축의 기술, 종이와 열쇠에 대한 이야기들, 신라의 목판  인쇄술이 고려로 이어지면서 팔만대장경이란 유물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은 역사와 그 시대의 필요성에 따른 유물로써의 탄생 과정이 여전히 흥미롭게 다가온다.







박물관을 방문해 전시되는 국가 보물들을 관람할 때마다 찬란했던 과거의 영광들을 상상해보면서 느끼는 감상들과 평소 궁금했던 부분들에 대해 다룬 내용들이 교육적으로나 일반인들 모두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런 점에서 박물관의 중요성과 역사와 문화를 보다 넓은 차원으로 보여주기 위해 시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나 과학기술의 접목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과학적 기술인 디지털 실감 영상관이나 실감 콘텐츠를 비롯해 3D 스캔을 통한 복원과 전시는 앞으로 후손들에게 조상들의 유산을 더욱 가깝게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감으로 다가오게 한다.







읽는 내내 보존처리 원칙과 기술들에 놀랐고 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들이 새삼 역사 유물 보존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깨닫게 해 준 시간이자 꾸준한 관심을 갖는 행동도 필요함을 느낀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