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 그린
마리 베네딕트.빅토리아 크리스토퍼 머레이 지음, 김지원 옮김 / 이덴슬리벨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과거보다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 점차  유리천장을 뚫고 자신만의 커리어를 쌓아가는 여성들을 볼 때면 시대의 인식 변화를 느껴보게 된다.



과거 여성들의 지위란 결혼해서 나 자신보다는 가족을 위해서 살아가던 여건이 많았고, 우리가 알고 있는 여성들의  선거권은 우리보다 앞선 민주주의를 기치로 내건 나라들의 사례를 통해 보더라도   참정권을 가지게 된 것이 생각보다 짧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생각해보게 한다.



그런 만큼 이 작품 속 실화 주인공인 벨 그린이 살아온 인생의 이야기는 미국 내의 인종차별을 이기고 자신만의 인생을 이루어 나간 여정이 눈길을 끈다.



특별하게 교육을 많이 받은 것도 아닌 프린스턴 대학교 사서였던 그녀가 J.P 모건의 개인 사서가 되고 그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희귀한 작품, 필사본, 예술품들을 사들이는 과정은 그녀의 남다른 예술을 볼 줄 아는 안목과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그녀는 명성을 쌓는다.



하지만 그녀가 자신이 흑인이라는 정체성을 숨기면서 개인 사서가 되고 그 이후 유색인종이란 것이 밝혀질까 두려움에 떨며 살던 내면의 불안감은 그녀의 인생에 있어서 내내 지울 수 없는 두려움으로 자리 잡는다.




자신이 백인이라고 주장할 근거를 만들면서까지 숨길수밖에 없었던,  유색인종을 바라보는 세상의 시선들은 오늘날 여전히 뜨거운 용광로란 말이 떠오르는  이미지로  차별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들을 떠올려보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가 살았던 시대에 그녀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홀로 자립하기에는 부득이 자신의 정체성을 감출 수밖에 없었을 것이란 이해와 이를 넘어서 자신만의 독보적인 능력을 발휘해 모건 도서관 초대 관장이 되기까지 성장한 그녀의 인생은 한 편의 드라마틱한 면을 지닌다.




인생에서 모든 것이  내가 원하는 바대로 모두 이뤄지기란 힘들다는 것을 알았던 그녀였기에 자신이 직업을 갖게 됨으로써 가족의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은 주변의 따가운 시선들을 이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사랑하는 사람에게조차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을 수 없었던 현실에선 그 마음이 오죽했을까 싶은 연민의 감정도 들었다.




두 저자가 실제 벨 그린, 본명은 벨다 코스타 그린의 인생을 조사하면서 20세기 초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사회적 분위기를 통한 유색인종들을 바라보는 시선들을 이겨내고 그 누구보다도 열심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이야기를 그린 작품은 남다른 감동을 느낄 수가 있다.




백인들만의 특권으로 불린 세계에서 피부색을 넘어 뉴욕 사교계에서 유명인사가 되기까지 그녀가 걸어온  파란만장한 삶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