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의 굴레 - 헤이안 시대에서 아베 정권까지, 타인의 눈으로 안에서 통찰해낸 일본의 빛과 그늘
R. 태가트 머피 지음, 윤영수 외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2월
평점 :
우리는 일본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가?
학교에 다니면서 배우는 한일 관계, 할아버지, 할머니께 듣던 일제강점기의 끔찍했던 시대의 이야기들, 문학작품이나 르포, 다큐를 통해서, 아니면 광복절을 기념해 방송에서 보던 관계 영상들을 통합적으로 떠올려 보지만 일본은 바로 이런 나라다!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본에 대한 서적 중 가장 회자되는 책들 중 하나가 '국화와 칼'이지만 이 책의 실제 저자가 일본을 방문하지 않은 상태에서 쓴 글이란 점과 우리나라의 몇몇 저자들이 출간한 내용들을 통해 일본에 대해 조금씩 알 수 있는 정도라고 보면 될 정보는 이 책을 쓴 저자의 다각적인 분석 내용을 통해 보다 자세한 부분들을 알 수 있게 한다.
실제 일본에 40년간 살아온 국제정치학자인 저자가 일본의 과거와 현재에 이르는 정치, 사회, 문화, 외교에 이르기까지 서양인의 눈으로 바라본 분석 내용은 일본에 대한 냉정한 모순된 점들을 들여준다.
전반부는 일본의 역사를 토대로 서양인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일본인들의 사고와 행동의 기원을 근대 이전의 막부시대와 메이지 정권을 세운 주체가 모두 같은 사무라이라고 말하며 이는 일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점이라고 서술한다.
즉 실제 봉건국가에서 근대국가로의 이행이 됐지만 권력의 주체는 바뀌지 않았다고 본 것이다.
이는 천황과 일본 내각이란 두 가지를 병행하는 독특한 체제, 민주국가이면서도 한 정당이 수십 년간 정권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제2차 대전으로 패망한 일본이 미국의 점령으로 인해 영향권 아래에서 발전해온 사실이 일본의 굴레라고 설명한다.
발전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경제와 군사력의 도움을 받아 비약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단 점에서 현재도 여전히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읽다 보니 지금까지 일본에 관한 관련 책들을 접하면서 일부분 알았다고 여겨진 부분들도 있었지만 여전히 그들의 어떤 집단적인 행동이나 역사에 대한 과오를 인정하지 않는 진짜 속내는 무엇일까에 대해 궁금증이 더 다가왔다.
구태여 국민성의 특징이라고 말하기엔 그들의 비양심적인 행보가 여전히 답보상태인 것을 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더욱 체감적으로 느껴진다.
특히 이 책의 저자가 서양인으로 일본에 살면서 외부인으로서 바라보되 일본 내의 내부인으로서의 관점을 고루고루 분할해 분석한 글들이 읽는 독자로 하여금 한 편으로 치우침이 없이 읽을 수 있도록 쓴 글이 인상적이었다.
일본과 한국은 같은 듯하면서도 분명 다르다.
문화적인 차이가 지형적 특성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역사적인 관계를 토대로 본다면 여전히 관계를 이어나갈 수밖에 없는 국제적인 이해 관계도는 이 책을 읽음으로써 보다 그들의 속내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좋아하지 않는 나라지만 배워야 할 점은 배워야 함을, 한 권에 총괄적인 여러 주제를 통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일본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추천한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