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 고려의 흥망성쇠를 결정한 34인의 왕 이야기
이동연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22년 11월
평점 :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에 관해서는 다양한 해석들과 주제들을 통해 많이 접해오곤 있지만 그 밖의 나라들에 대해선 조선보다는 많이 접해볼 기회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번에 만난 이 책은 고려왕조 475년 역사 속에서 고려를 다스렸던 34인의 왕의 심리를 통해 당시 정세와 왕의 정치력에 대한 이야기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게 한다.
왕건에 의해 고구려가 창조되기 전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등장인물들인 궁예, 견훤에 대한 그들의 성장과정과 통치력을 통해 본 심리들은 자라온 환경에서 다져진 심리학 용어를 통해 이해력을 높인다.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궁예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지닌 것으로 보는 저자는 그의 이런 심리는 차후 다중인격, 경계성 장애로 번졌고 결국 백성들이나 신하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한 결과를 낳았다고 한다.
이후 왕건이 아버지가 다져놓은 찬스를 이용해 고구려 건국을 이루고 멸하기까지 등극했던 왕의 각기 다른 면모들은 고구려의 흥망성쇠와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 들려주는 이야기들이 오늘날 여전히 통용되고 있는 권력자의 위치와 정치력에 대한 생각들을 해보게 한다.
피터팬 증후군인 혜종, 불안의 증세인 바넘 효과를 지닌 정종, 광종의 확증편향에 치우진 피를 본 정치의 세계, 이에 양가감정을 지닌 아들 경종의 정치력들은 수하에 어떤 신하들을 거느리고 나라를 다스렸는가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 모습들을 볼 수 있다.
흔히 당파싸움이 조선에 유행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이미 고구려 왕조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 권력의 구도 세계는 성종처럼 성군의 자세로 한때는 안정기처럼 보인 시대도 있었지만 드라마 천추태후에서 볼 수 있었듯 섭정의 정치 후유증으로 인한 아들이 동성애에 빠진 사례(목종)로 멸망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무신정권과 원의 지배를 거치면서 복속해야만 했던 고구려의 기울어가는 시대는 이성계와 최영 장군의 대립, 정몽주의 죽음으로 우왕이 밀려나면서 고구려의 왕조가 끝나지만 심리학적인 용어와 왕들의 정치력을 다르게 바라본 관점이 신선했다.
특히 초창기 고구려의 왕위를 물려주는 데에 있어 아들뿐만이 아니라 능력 있는 자를 우선으로 고려해 왕위를 물려주었다는 것, 여성들의 활동범위에 조선 중기 후반처럼 그렇게 제약이 많지 않았단 사실들은 역사를 읽는 또 하나의 재미를 느끼게 한 책이다.
충신이 건네는 말에도 귀 기울일 줄 아는 왕이 있음으로 해서 나라의 기강이 올바르게 설 수 있다는 기본적인 사실들을 다시 깨달을 수 있는 고구려 왕조의 이야기는 프로이트, 융, 스탠리 밀그램, 피아제, 알프레드 아들러, 마틴 셀리그먼에 이르는 심리학자들의 내용과 견주어 비교해 봄으로써 현대에 들어서도 여전히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는 역사란 생각이 든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