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맨 - 인류의 기원을 추적하는 고인류학자들의 끝없는 모험
커밋 패티슨 지음, 윤신영 옮김 / 김영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고고학자들이 고대 유물을 발굴하는 장면이 등장하는 책을 접할 때면   뼈를 통해 진실을 추적하는 경로라든가 도구들, 어떤 방법들을 취하는가에 따른 미스터리를 연상케 하는 진행들이 무척 신기하게 다가왔던 기억이 떠오른다.



인류의 뿌리를 찾는 과정들은 종교나 진화론을 필두로 그동안 고고학이란 학문을 통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 결과로 교과서나 우리들이 생각하고 있는 근거가 기정 사실화되고 있다.


이 책은 이런 사실에 새로운 화석이 발견됨으로써 지금까지의  사실들을  다시  재정립해야 하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저자는 이를 발견한 팀 화이트와 그 주변 인물들을 취재하고 직접 동행하면서  아르디가 “고인류학계의 맨해튼 프로젝트"란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세상에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한 편의 다큐처럼 펼쳐 보인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루시'가 가장 오래된 우리의 뿌리란 생각이 ,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일명 ‘아르디’ 라 불리는 화석의 발견으로 인해 루시보다 100만 년 앞선 화석이란 사실은 인류의 근원을 찾은 또 하나의 획기적인 발견이었다.



아르디는 루시보다 키가 야간 크고 뇌는 현생인류의 4분의 1 정도, 골반은 루시와 비슷했으며 발가락을 지닌 특징을 갖고 있는 여성이었다.







발견 당시 학계에서는 기정 사실화된 루시에 대한 생각에 갇혀 받아들이질 못했고 이런 사정은 특히 화이트란 인물이 지닌 성정이 한몫하기도 했다.





독선적이고 자신의 명성을 알리는 일에는 신경 쓰지 않는 성격, 타협할 줄 모르고 냉철한 논리에 입각한 논쟁의 주인공인 화이트가 지닌 태도는 타 고고학자들과의 불협 화음으로 인해 결국 유명 학자들과의 협업에서 이탈, 독단적으로 화석 발굴을 하기에 이른다.








루시를 발견하고 복원하는 팀에서 일하던 그는 순수한 학문적인 열망으로 인한 화석에 대한 갈망은 1994년 에티오피아에서 발굴한 인류의 조상 화석으로 생각되는 뼈의 발굴로  지금까지의 가설들을 모두 뒤집는 새로운 발견으로 인식된다.




책 속에는 고고학을 통한 탐사를 하기까지 주위의 여건 사항들이 예기치 못한 상황(에티오피아의 혼란한 국내 정세) 때문에 시간들을 흘려보내야만 했던 답답한 흐름들과 서로 다른 의견 충돌로 인해 먼저 앞서 발표를 하려는 타임의 절묘한 경쟁심과 질투, 순수학문이 정치적으로 연결될 때 어떻게 학자들이 다른 길을 걷게 되는지를 사실적으로 보인다.



하나의 화석이 발굴되기까지 탐사 대원들이 심혈을 기울이는 과정은 흡사 아기를 돌보는 것 이상이다.



해독하기까지의 기존의 방법에서 좀 더 나은 분자유전학의 발전을 통해 인류가 아프리카 유인원과 매우 가깝다는 사실들을 밝혀내는 것도 앞으로 고고학 연구 과정에 또 하나의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서 점차 발전되는 방향의 기대감이 들게 한다.




이제까지 인류의 조상은 유인원과 가깝게 닮았다고 생각하던 점이 아르디의 발견으로  인류의 기원에 관한  생각들을 생각해볼 수 있는 과정들은 새로운 진실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함을 말한다.









특히 서양 주도의 학자들이 탐사에 대한 주도권을 쥐던 행보가 탐사 해당 국가 사람들을 동참시킴으로써 관련 학문에 열외를 두지 않았던 화이트의 동료애, 여성 과학자들의 참여가 극히 드문 고고학계에서 화이트에 반하는 행동을 보였던 다른 학자의 모습도 앞으로 고고학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





자칫 딱딱할 수도 있는 과정을 추리소설과 역사, 다큐의 혼합을 보듯 탐사기록을 그린 저자의 글에 빠져 읽은 책,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독자라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