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별 인간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무라타 사야카 지음, 최고은 옮김 / 비채 / 2022년 9월
평점 :

'편의점 인간'을 쓴 저자의 신작이다.
지구라는 행성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합의적으로 이뤄진 질서 내지는 묵인하게 이루어지는 관습이나 제도가 과연 누구를 위함인가에 대한 생각을 내내 떠올리며 읽은 작품이다.
전작에서도 파격적인 충격을 선보인 저자의 글은 '충격' 그 자체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설정들 속에 드리워진 페미니즘적인 경향마저 떠올리게 한다.
초등학생 나쓰키가 겪는 불안의 시간들, 엄마의 화풀이가 섞인 체벌과 냉대, 무관심한 아버지, 위로 언니와의 원만치 못한 자매 사이는 어쩌면 어린 소녀에게 안식처럼 생각될 수 있었던 마법소녀의 이미지는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매년 백종 절이면 교통조차도 불편한 할머니 집에 모이는 친척들 사이에서 자신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사촌 유우와의 만남은 그들 스스로가 지구별 인간이 아닌 외계인 포하피핀포보피아로서 지구인들을 바라본다.
문제는 어린아이들이 어릴 적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그런 것이 아닌 실제로 그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다른 외계인인 지구인을 바라본다는 시각은 자신들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는 어른들로부터 독립할 때까지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성장한다는 것이다.
작품 속에는 성 피해자로서 겪은 초등학교 때의 경험은 성장하면서 자신과 같은 동종의 생각을 갖고 있는 남편과 계약결혼을 하는 과정을 통해 지구성에서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을 알고 실행에 옮기는 일들은 사회의 보이지 않는 강요된 인식을 비난한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결혼할 적령기가 되면 결혼을 하고 출산을 해야 함을 강요하는 사회, 특히 나쓰키가 생각하는 지구성인들의 모습은 '공장의 세계라고 인식하면서 마치 물건을 뽑아내듯 종족 유지를 위해 여성의 자궁을 단지 출산에 이용된다는 생각, 그렇기 때문에 자신은 그들과는 다른 마법소녀이자 외계인으로 생각한다는 부분들이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난한다.
제도에 순응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서 바라본 그들의 생각이나 상상을 초월한 행동들은 정신 이상자이자 꿈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몽상가처럼 비쳐 보인다.
(그들의 눈엔 공장의 세계에서 자신들의 삶을 지키고자 한 것뿐인데도 말이다.)
나쓰키의 시선에서 본 사회와 그 사회 속에서의 인간이란 주체가 하나의 부품처럼 불과하다는 사실들을 비유하는 장면과 생각들이 이런 시스템을 거부하면서도 지구별의 인간으로 살아가고픈 마음과 지구를 떠나고픈 마음의 혼돈이 마지막에 이르러서 던진 결말은 충격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았다.
디스토피아의 세계를 통해 저자가 그린 여성들의 지위와 출산, 결혼이란 제도를 가정과 사회의 제도를 통해 그린 작품이라 SF적인 부분들이 있지만 현실적인 문제들을 이렇게 쇼킹하게 다뤘다는 점에서는 차후 저자가 그리는 세계는 무엇일지 궁금해진다.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