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 정민 교수의 한국 교회사 숨은 이야기
정민 지음 / 김영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역사 시간에 줄줄이 외울 수밖에 없었던 한 챕터 속의 박해사건들, 지금도 그 당시를 생각하면 조금 머리가 아파오지만 이 책을 통해 국내에 천주교란 종교의 발자취를 조금 더 세부적으로 알아가는 계기를 준 책이다.




1770년 중반 이후 조선의 천주교회 태동부터 1801년 신유박해를 관통하고 있는 천주교에 대한 초기 역사를 다룬 내용은 일단 방대한 자료수집을 통한 저자의 녹록지 않은 노고가 깃든 책이란 생각이 든다.



이미 각 동네마다 한 개씩 자리 잡고 있는 성당들의 모습이 낯설지 않은 가운데 저자는 조선 사회에 뿌리내리기까지 박해와 순교를 무릅쓰고라도 지켜온 천주교가 과소평가되어 있다는 말로 서문을 연 뒤에  틈새의 부족한 역사적인 발자취, 행간에 숨어있는 글들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들이 있음을 말한다.



정조시대에 중국과의 관계를 통해 들어온 서학이란 종교의 뿌리내림은 기존에 유교적인 전통적인 원칙과 부딪치는 과정들과  양반들과 하급 신분들의 계급타파, 서양 신부들의 암암리에 펼친 포교 활동들과 함께 권력의 핍박에도 꿋꿋이 풀뿌리처럼 명맥을 유지해나가는 과정을 보인다.







특히 서학이란 종교의 영향과 서양문물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여러 인물들의 행적과 글들을 통해 과연 그들은 당시 어떤 생각들을 하고 있었을까에 대한 그 시대 상황에 비추어 생각한 부분들은 배교와 실리주의 원칙이란 수용을 통해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다.




내가 알고 있던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은 천주교를 믿고 있는 신자라는 생각을 이 책에서 왕권의 힘에 굴복하고 배교를 했다고 여겨지는 행동들을 읽을 때는 먼 훗날을 위한 하나의 겉보기가 아니었을까도 생각하게 된다.









일례로 박지원과 박제가의 사례들은 서양 종교라는 것 외에도 실용주의 경제정책을 생각했던 점은 그냥 종교적인 차원에서만 바라본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도 발전될 수도 있는 계기가 되어준 점도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정조가 남인 채제공을 앞세워 이루고자 했던 정책의 실패 속에는 서로 다른 당파로 인한 분열, 여기에  표교 활동(이런 포교활동들은 요즘 거리에서 교회 활동을 하시는 분들을 떠올리게 한다.)을 거치면서 결속을 다진 백성들의 신앙심을 막지 못한 일들까지 조선에서 이단 종교처럼 여긴 천주교의 발전은 역사 시간을 통해 배운 부분들과 다른 부분들까지 두루 알 수 있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였던 조상에 대한 예를 거부하는 종교의 교리 때문에 가족 간의 불화, 대대로 믿어온 양반들의 후손들이 노비로 전락하면서까지 믿은 종교의 힘에 대해 많은 것들을 생각해보는 시간이기도 했다.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타 종교를 받아들이는 속도나 이를 수용해나간 조선 사회의 독특한 분위기, 이런 체제 속에서  천주교가 조선 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었던 각각의 사례들을 통한 내용은 하나의 이야기처럼 다가오게 한 쉬운 문장들로 가깝게 접근할 수가 있었단 점이 좋았다.




벽돌 두께 책이지만 해당 종교를 믿고 있는 독자들이라면 보다 관심 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