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물 한 방울 - 이어령의 마지막 노트 2019~2022
이어령 지음 / 김영사 / 2022년 6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6/pimg_7136731163498345.jpg)
2022년 2월 26일 영면에 드신 고 이어령 님의 마지막 육필 원고를 모은 책을 접해보니 새삼 시간이 정말 빠르다는 것을 느낀다.
이 시대의 지성인 중 한 분이셨던 저자가 남긴 책 속에 담긴 글들은 하나하나 인생을 살아오면서 그 삶에 대해 반추하고 죽음을 마주하며 써 내려간 글이기에 하나하나 천천히 보듬어 읽었다.
컴퓨터를 이용해 글을 쓰는 행위가 40여 년 만에 병상에서 손글씨를 통해 다시 글을 쓴 내용들은 익숙함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써보는 듯한 내용들이 노트 한편에 그 흔적을 남겨 놓은 것을 통해 뭉클함이 전해지고 시와 수필 110편, 그림이 기록된 육필원고가 2021년 이후부터 필체의 힘이 기존과는 다른 힘의 강도가 달라짐을 느끼며 읽는 시간이 가슴이 먹먹해져 온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6/pimg_7136731163498368.jpg)
-"병상에 누워 내게 마지막 남은 것은 무엇일까 생각했다. '디지로그' '생명자본'에 이은 그것은 '눈물 한 방울'이었다."
짐승과 인간을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글에서 눈물이라고 한 대목은 오로지 인간만이 정서적인 교감을 통해 눈물을 흘릴 수 있다는 사실과 인공지능 시대에 아무리 특출한 로봇이라고 하더라도 인간이 지닌 감성을 통한 눈물은 흘리지 못하니 그 '눈물'에 대한 이야기가 책 속에 고스란히 담겨 그 의미를 느껴보게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6/pimg_7136731163498370.jpg)
길지도 짧지도 않은 조용히 귀를 기울여 듣는다는 느낌으로 읽은 구절 하나하나가 단순히 인쇄로만 전달돼 읽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친필 원고와 손그림까지 원본 노트를 살려 전해주기에 더욱 짙은 여운을 느껴보게 한다.
- 늙은이가 젊은이에게 해줄 수 있는 단 한마디.
MEMENTO MORI. 죽음을 생각하라는 말이다.
늙어서 죽음을 알게 되면 비극이지만 젊어서 그것을 알면 축복인 게다.- P79
인생을 살아온 경험을 통한 축적된 지식, 평생 디지로그와 생명 자본이라는 개념을 염두에 두고 물음과 느낌으로 던진 글들은 이제 더 이상 읽을 수는 없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저자가 들려주는 내용은 두고두고 이어질 것임을 '눈물 한 방울'이 지닌 의미가 깊은 울림을 전해준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