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도시
임우진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들이 삶의 주거 공간으로서 살게 된 집과 거리들, 이것들이 하나둘씩 모여 도시를 형성하고 살아가는 사이 새로움에 익숙하기보다는 안정이 주는 익숙함이란 타성에 젖게 마련이다.

 

 

건축에서 하나의 건물을 세울 때 여러 가지 기반 사항을 숙지하고 만들 때  완벽함을 지향하려는 생각은 갖고 있지만 살다 보면 이 또한 불편한 시선으로 향하기도 한다.

 

 

한국과 파리에서의 생활을 한 저자의 인문학적인 시선이 담긴 건축이 주는 의미, 도시 속에  공간이 차지하는 의미가 인간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담은 책을 통해 지금의 내가 살고 있는 도시를 다시 들여다본다.

 

 

1. 2부로 나뉜 글에는 생활 곳곳에 미처 생각하지도 못한,  말 그대로 밀착형 생활의 여러 가지 의도를 담은 기반 시설과 한국 유교사회에서 만들어진 '우리'와 '방'이란 공간이 주는 의미가 어떻게 지금의 아파트 생활 문화권과 연관되고 있는지를 서양의 건축물과 비교한다.

 

 

무심코 파란불이 들어오면 건너는 신호등의 위치 선정을 통해  서양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글, 담장과 울타리를 통한 궁궐과 한국 고유의 집 구조가 문 밖에 대한 관심을 두지  않은 결과물이란 사실을 통해  이는 곧 나와 길로 이어진  무관심에 대한 사유들이 건축을 통해  이렇게 재미와 흥미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을 느껴보게 한다.

 

 

특히 가장 궁금했던 것 중 하나였던 '길'과 '광장'에 대한 글은 여행을 하면서 느꼈던 궁금증을 풀어줬다.

 

 

 

 

 

한국의 아파트 경우엔 동마다 대표하는 현관이 있고 현관에  들어가기까지 자동차와 보행이 가능한 길을 거치고 들어가는 구조라면 서양은 길가에 세워진 건축물 안에 아파트 형태가 이뤄진 경우다.

 

 

이는 곧 한국인만의 주거 공간 구조가 길을 중심으로 형성된 구조라기보다는 집이 먼저 만들어지고 자연스럽게 길이 만들어진 경우라면 서양은 철저히 도로를 기반으로 건축이 그 위에 형성되었기에 지도상으로 봐도 현저한 차이를 엿볼 수 있다는 점이다.

 

 

 

삶의 구조가 사회, 문화 관습과 인간들의 조화가 어떻게 이뤄지느냐에 따라 이렇게 다른 건축 구조가 형성된다는 사실들은 장례문화, 인간의 욕망이 그치지 않은 채 휘황찬란한 고층 건물로 경쟁하듯 세워지는 현실, 주거 공간으로서의 아파트가 사고파는 이익을 우선해 두는 인식과 공간의 주도권에 대한 사례들은 그 공간 안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공간에 대해 일찍이 생각해보지 않았던 부분들을 다룬 글이 신선하게 다가온다.

 

 

 

이는 점차 공동체란 의미가 예전과 다른 의미로 다가옴을 다룬 글을 통해 나와 타자에 대한 각박한 현실의 모습 반영이 씁쓸함을 전하기도 한다.

 

 

 

 

특히 자율참여를 통해 자신만의 집을 가꾸기 시작한 프랑스 사람들의 꽃 심기나, 칠레의 이야기, 여기에 우리나라 부산 마리아 수녀회(엄마 수녀회)의 새로운 발상의 건축 시도는 감동적이었고 일률 편적으로 남향만을 바라보는  현시대 아파트 건축에 대한 시선을 다시 바라보게 한다.

 

 

 

 

 

 

"사람이 먼저인 도시'를 주장한 저자의 말에 십분 공감하게 되는 글들은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한 부분들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관심들을 불러일으켰고  보이되 보지 않았던 건축 속에 담긴 사람과 공간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