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뜬 곳은 무덤이었다
민이안 지음 / 북폴리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과학기술출판협회 제1회 SF소설 공모전 '상상 현실이 되다' 대상작이다.

 

 

내가 눈을 뜬 곳은 집이 아닌 어느 폐기 더미들이 쌓인 곳이었고 왜 이곳에 있는지를 몰라 당황하고 있을 때 구형 안드로이드인 '달'이 위험에서 구해준다.

 

자신은 분명 인간이라고 생각했던 나를 '이라 자신의 주인이 붙여준 이름을 갖고 있는 안드로이드 로봇은 은 자신과 마찬가지로 나 자신도  안드로이드 로봇이라고 알려주며 데이터가 일부 소실된 상태로 기억을 못 하는 것이란 사실을 알려준다.

 

기존에 인간이라고 믿었던 나 자신에 대한 정체로 혼란을 겪으면서 '달'은 헤어진  자신의 주인이 심어준 명령에 따라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러 떠나는 길에 함께 동참한다.

 

대부분의 공상과학 소설이 지닌 배경이 우울하고 암울한 디스토피아 세계가 주를 이루는 진행이 많지만 이 작품은 그런 가운데 안드로이드란 로봇을 통해 마치 인간처럼 교류를 느낀다는 점을 드러내면서 어린 왕자가 있는 곳으로 향하는 여정이 따뜻하게 그려진다.

 

영화나 타 장르에서 상상의 토대가 되는 미래의 세상에는 과연 인간과 일부 인간처럼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로봇과의 교류가 가능한 세상이 올까? 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가 있는 작품 흐름은 어린 왕자를 등장시킴으로써 희망의 느낌을 갖게 한다.

 

인류가 멸망하고 인간의 DNA가 냉동된 후 보관을 거쳐 다시 새로운 형태의 반인반 로봇의 형태인 새로운 존재로 거듭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는 읽으면서 미래의 사회를 그려보는 한 부분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게 한다.

 

불가능할 것 같은 부분들이 과학의 발달과 인간의 도전이 계속되는 한 이런 상상의 벽을 허무는  일들이 실제 상황으로  오지 말란 법은 없지 않겠나 하는 생각들이 기존의 타 작품에서 보인 비슷한 부분들과도 겹치기에 인상적으로 다가온 작품이기도 하다.

 

 

로드무비 형식을 통해 인간들이 생각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인류애, 사랑, 여기에 성장과 안드로이드 간에 보인 우정과 협력들까지 고루고루 분포된 여러 상황들이 단순히 이야기로만 그치는 것에서 미래로 뻗은 이야기로 그려낸 저자의 빛이 발한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