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행성 1~2 - 전2권 고양이 시리즈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양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내용들이었던 고양이, 문명에 이어 행성으로 종착점의 여정을 마친 작품이다.

 

일단 저자의 그동안 출간한 작품들에 대해   읽어본 것들을 생각해보니 대체적으로 인간들을 내세운 주인공보다는 우화소설처럼 읽을 수 있는 개미, 나무, 인간을 주인공을 내세웠지만 알고 보면 인간 위의 천상 세계 속을 배경을 다루었다는 점이 이번 작품에서도 같은 흐름을 느낄 수가 있다.

 

전작에서의 고양이 바스테트와 그 일행들은 쥐떼들의 공격을 피해 뉴욕으로 건너가지만 막상 안착할 부분이 보이지 않을 만큼 여기도 쥐떼들의 천국이다.

 

여기에 자신들을 쫓아 미국까지 온 티무르의 교활한 행동들은 포로로 잡은 폴이 제3의 눈을 달고 사라져 버린 위기상활까지 겹쳐지면서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긴장감으로 이어진다.

 

더군다나 미국에 남아 있는 인간들의 모임인 102인의 대표단으로 구성된 부족주의는 원주민과 이주민들 사이의 자격 부여를 '시민'과 '거주민'으로 나누고 여기에 바스테트가 총체적 난국을 해결한 방안 제시를 통한 성공이 이루어졌을 때 103번째로 고양이 부족 대표로 인정해달라는 의견은 내세운 장면은 인간들의 정신 못 차린 이기적인 남과 타인의 편향 주의적인 편견을 내보인 장면으로 다가온다.

 

이처럼 저자가 그린 작품 속에서의 인간들의 모습을 동물이 바라보는 시각으로 그렸다는 점이 기존의 스타일로 이어지면서 현실과 상상의 무한의 세계를 넘나드는 필력은 여전하다.

 

 

 

 

 

여기에  [개미]에 등장했던 에드몽 웰즈의 후손인 로망 웰즈가 등장하면서 기존의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의 보다 넓은 데이터를 추가해 보인 글들을 읽는 재미도 쏠쏠하고 실존 인물인 힐러리 클린턴의 등장과 인류가 갑자기 지구 상에서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를 상상한 대목들은 의미심장하게 다가온 부분이기도 하다. 

 

 

10일 뒤: 먹이를 먹지 못한 가축들이 굶어 죽기 시작한다.

 

1개월 뒤: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 시스템이 가동하지 않아 원자로의 노심 용융이 일어나면 체르노빌 사태 같은 대규모 폭발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 방사능 누출로 인해 취약한 생물 종부터 서서히 죽게 된다. (...)

 

1억 년 뒤: 플라스틱 폐기물마저 사라져 인간이 지구 상에 존재했다는 흔적은 어디에도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작품이 포스트 코로나로 인한 위축된 시기인 2020년에 출간된 점은  저자가  결국 기존의 신와와 우화를 넘어 현실의 세계를 직시한 글을 통해 여전히 지구란 행성의 환경을  디스토피아로 그리고 있지만 이 또한 인간들의 자각과 서로 협력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희망으로도 여길 수 있는 여지를 보인다.(결국은 고양이를 부족으로 받아들임)

 

 

지구라는 행성은 인간들만이 살아가는 세상이 아닌 모든 살아있는 종들의 화합과 지구의 환경과 자연과의 공존이라는 점을 일깨운 메시지가 담긴 작품답게 총망라한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