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름은 어디에
재클린 부블리츠 지음, 송섬별 옮김 / 밝은세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해에 실종되는 자들의 숫자는 얼마나 될까?

 

그중에서 여성들의 수는 얼마나 될지, 솔직히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을 이 작품을 통해서 되새겨 본다.

 

이제 막 18살이 된 앨리스는 위스콘신을 떠나 600달러, 선생님의 카메라를 훔쳐 무작정 뉴욕으로 온다.

 

그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겠단 생각을 가지고 노아의 하숙집으로 온 그녀, 같은 시기 호주 멜버른에서 결혼을 앞둔 남자와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던 루비 존스도 뉴욕으로 온다,

 

각자가 다른 생각을 지니고 온 뉴욕이란 장소,  두 여성의 삶은 그렇게 서로 어긋난 듯 보이지만 앨리스가 비가 오고 번개다 치던 그날   공원에서 폭행과 강간을 당한 채 쓰러져 있는 것을 루비가 발견한다.

 

이름도, 살고 있는 곳도, 그녀가 지닌 소지품조차 발견하지 못한 현장에서 시체를 본 루비의 충격은 클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지사,  작품 속 흐름이 앨리스가 독자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의 시점을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것이 기존 추리물과는 다르게 다가온다.

 

 

추리의 진행상 수사를 진행하는 경찰이나 수사권을 이어가는 형사의 관점이 대부분이라면 이 작품은 여성의 목소리인 앨리스의 존재가 자신의 성장과정과 뉴욕으로 오기까지의 이야기,  루비가 느끼는 죽은 소녀에 대한 아픔과 자신이 받은 트라우마를 데스 클럽 모임을 통해 치유해 나가면서 사건에 대한 진실을 알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그려나간다.

 

 

특히 힘없는 여성들의 죽음을 통해 묻지 마 살인처럼 다루어진 범인의 행동은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실종된 여성들의 이야기를 대변하는 인물인 앨리스란  주인공의 이야기를 통해 피해자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듯 다가와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자신의 이름이 묻히고 초반 리버사이트 제인이라고 불리면서 사건 속에 남겨진 채 아무도 그녀가 사라진 것을 몰랐고 연락조차 하지 않았단 사실은 루비에게 발견되지 않았더라면 존재 자체도 희미하게 남겨질 뻔할 수도 있었을 애리스의 죽음을 통해 여성들이 마음 놓고 어둠이 내린 시각이나 으슥한 공원에서 활보할 수 있는 사회적인 여건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뜻이 충분히 담겨 있다.

 

 

나의 이름은 앨리스 리라고 들려주는  소녀의 존재, 작품 속 내용처럼 루비로 인해 앨리스는 자신의 이름을 찾았지만 만약 현실에서 이러한 일조차도 어려운 상황이라면 그녀들의 이름은 누가 밝혀줄 수 있을까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점을 생각해 보게 된다.

 

 

묻지 마 죽음에 대한 관심이 가해자에게만 집중되는 현실에 대한 비판이자 피해 여성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는 추리물로써 다가온 작품, 앨리스가 꿈꾸던 카메라 앵글 속에 아름다운 풍경만 담아내는 세상이 오길....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