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전고운 외 지음 / 유선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일이 아닐지라도 나만의 글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은 한두 번쯤 하게 되는 순간들이 있다.


정말 한 문장 한 문장 주옥같아서 필사하고, 여기에 이렇게 적절한 문장을 빚어내는 작가들에게 대한 부러움과 시샘(?)들을 느껴보던 순간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 가깝게 느껴진다.


책을 읽는 사람들은 많지 않아도 글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시대, 글보다는 영상으로 접하는 시대의 흐름을 제외하더라도 글쓰기에 대한 각기 다른 모습들을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의 내용은 라인업이 화려하다. (전고운, 이석원, 이다혜, 이랑, 박정민, 김종관, 백세희, 한은형, 임대형 )


어떤 한 사람의 에세이가 아닌 총 9명의 글을 통해서, 그들의 글쓰기에 관한 생각들을 보인 이 내용은 책 제목처럼 각자가 일과 삶이란 병행된 흐름 속에서 쓰기가 어떻게 자신들에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들려준다.


취미로 글을 쓰는 것과 직업으로 글을 쓰는 것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이 다를 수밖에 없다.


쓰고 싶다 와 쓰고 싶지 않다는 경계선 사이에서 오는 갈등, 쓰고는 싶은데 몸이 이에 못 미칠 때의 안타까움, 마감일이 임박해서야 쓰게 되는 글이란 굴레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글을 업으로 삼아 살아가는 작가들의 마음들을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특히 '어느 에세이스트의 최후'에서 작가로서 자신의 온 힘을 다해 출간한 작품이 서점 랭킹 순위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가 없고 판매 저조로 이어지면 마음의 좌절을 느끼게 된다는, 자신의 책이 좀 더 독자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자리 위치를 고려한다는 점은 출판사 직원들의 마음과 일맥상통한 부분이란 생각이 들었다.


또한, 서점의 형태가 카페와 병합된 한 부분의 공간 활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현실과 과거의 서점 형태와 비교하는 글은 나 또한 서점이 가진 기능에 대해 비슷한 생각들이 있는 터라 반가움이 들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이다혜 님의 글은 많은 공감을 일으킨 부분들이 많았다.


직장인으로서, 타 매체에서 글 청탁을 받을 때, 나만의 글 쓰는 타입을 보인 부분들과 노력한 모습들,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그만의 생각들은 글쓰기 행위에 대한 많은 생각을 담고 있어 인상적이었다.


글을 쓴다는 것에는 자신과 싸움이 있고 창작의 고통이 있으며 이런 고통과 마침표를 찍는 순간 느껴보는 희열의 짜릿함은 치열함의 쟁취를 느껴보는 순간임을 읽으면서 나 또한 그들의 심정을 알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잘 써지는 날도 있지만 머리를 짜내도 안 써지는 날이 있는 글쓰기 행위, "태생적으로 출력보다는 입력이 쉬운 사람이다. 먹지보다 백지가 무섭다. 백지를 나의 무엇으로 채워가는 것에 매우 서툴다. (-p125)"란 박정민 님의 글은 귀여운 고백처럼 다가온 문장이다.


아홉 명의 작가가 모여 만든 에세이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


그들이 생각하는 글쓰기에 관한 생각들을 하나하나 엿볼 수 있어서 좋았던 책, 쓰기 위한 첫 발자국을 넘어서 행동으로 나아가기까지의 여정이 독자로서는 여전히 부럽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