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내내 좋아했어
와타야 리사 지음, 최고은 옮김 / 비채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의 다양성, 그 가운데 소재로써 다루는 사랑의 소재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일단 여성 퀴어 문학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작가가 세라 워터스인데 이번엔 현대 배경을 지닌 일본 여성 작가의 작품을 만나본다.

 

소우와 아이, 그리고 그들의 동행으로 함께 여행을 떠난 다쿠마와 사이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는 사이카가 아이에게 고백을 하면서 그들의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처음엔 자신에게 키스한 사이카에 대해 불쾌함을 표시하면서 화도 낸 아이였지만 사이카의 솔직한 말에 점차 그녀도 흔들리는 것을 느낀다.

 

모두가 선망하는 연예인인 사이카, 그녀가 내게 고백을 하다니, 만일 생각하지도 못한 어떤 동성에게 이런 고백을 듣는다면 당황을 넘어선 혼란스러운 마음이 생길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런데 그들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사랑을 하지만 주위의 시선에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다.

 

 

'사랑'이란 그 실체는 무엇일까를 이 작품을 읽으면서 내내 생각했다.

 

사랑이란 범위에는 형용할 수 없는 모습들이 존재한다.

 

기본적인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 연인 간의 사랑, 어떤 특정 종교에 대한 가르침과 이를 통한 사랑의 실천...

 

하지만 동성 간의 사랑에 대해서는 사회적인 인식이 많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운 사랑이란 생각이 든다.

 

그것이 작품 속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사회적인 보편성에 대한 의미로 생각해 볼 때는 그들에게 이런 시련마저 겪게 하지만 오히려 이들은  서로 든든한 지원군처럼 함께 하는 모습을 보인다.

 

남녀 간의 사랑과 그다지 별반 다르지 않은 그들의 사랑법, 좋아하고 이별하고 다시 만나는 일의 행보는 “무슨 일이 있어도 기다릴게. 사랑해.”라는 둘이 확신이 있음으로 해서 더욱 그 의미를 되새겨 보게 한다.

 

 

 

 

문득 어느 연예인이 한 말이 떠오른다.

 

같은 동성을 좋아한다고 해서 비난만 하지 말아 달라. 그저 말없이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어준다라는 말, 당시 사회적으로 커밍아웃을 한 이후 힘든 시절이 있었음에도 조심스럽게 말한 부분이 이 작품을 읽으면서 내내 떠나지 않았다.

 

작품 속 사이카가 들었다는 니콜라이 카푸스틴의 피아노 연주곡이 그들의 사랑하는 마음을 느끼게 한 것은 작가의 의도였을지도 모르겠지만 읽는 내내 사랑하는 이들의 모습을 찬찬히 보인 작품이라 인상 깊었다.

 

 

사랑하는 순간만큼은 눈부시고 빛난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작품 속의 두 사람, 남자, 여자를 떠나 너라서 좋아한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다.

 

 

 
- 지루한 날이 계속되더라도 한자리에 고여 있을 수는 없다. 모든 건 변화하기 마련이다. 시간은 쉼 없이 흐르고 육체는 쇠하며 우리는 죽음을 향해 나아간다. 뼈와 재, 먼지가 될 때까지의 짧은 시간 동안 자신을, 누군가를 함부로 공격할 필요가 있을까.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기적이라 할 수 있는 주변 사람들을.-P 448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