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을 돌보고 연구합니다 - 경이롭고 감동적인 동물과 과학 연구 노트
장구 지음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JTBC ‘차이 나는 클라스’,  tvN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에 출현한 저자의 책이다.

 

 

방송에서 접하는 동물에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예전에 비해 많아졌다는 사실은 그만큼 생활에서 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실제 한 집 건너 거의 대부분 반려동물들을 키우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인류가 살아가면서 야생동물을 집에서 키우는 동물로 길러내면서 동물에 대한 연구는 사육한다는 것을 넘어 인류의 건강과 반려동물의 복제까지 몰랐던 부분들을 들려주기에  한층 동물에 대한 관심과 생각을 던져보게 한다.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개란 사실도 처음 알았고 각막을 준 돼지의 이야기, 시험관 아기 탄생의 밑거름이 된 쥐, 얼마 전 인간에게 체내 거부반응을 피하도록 설계된 돼지 심장을 이식한 일, 여기에 인간과 마찬가지로 응급치료가 필요한 동물들이 동물병원 진료실을 찾는 사례에 대한 이야기는 관련 프로그램을 떠올리게 된다.

 

 

동물들이 인간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크다.

 

 

저자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이룬 연구결과를 통해 유전자 변형 생물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들에 대한 이야기와  여기서  외부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고 우리가 원하는 특성을 지닌 동, 식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들려준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법제도를 통해 정비하고 있다니 우리나라 또한 이에 관한 법 제정이 필요함을 느껴본 부분이다.

 

 

더 나아가 저자가 병행하고 있는 임상과 연구라는 길에서 아픈 동물을 치료하고 살리려는 과정과 사람의 질병 치료를 위한 연구란 이름으로 실험 목적으로 하는 동물들에 대한 기준에 대해 다룬 부분들은 딜레마처럼 여겨지는 부분이기도 했다.

 

 

 

이는  동물의 권리에 대한 이야기를 떠올려보게도 하고, 동물실험에 대한 반대 의견들이 있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필요한 부분이란 의견도 있으며, 비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사실을 통해 동물과 인간과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해봐야 할지에 대한 범위까지 넓혀볼 수가 있다.

 

 

 

특히 저자의 전공인 연구와 임상을 겸하는 일을 통해 그가 바라본 아픈 동물을 치료하는 일들, 여기서 저자는 아픈 동물이라 칭하지 않고 '아픈 환자'라고 말한 부분이 동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름을 알 수 있고,  인간과 마찬가지로 고통에 힘들어하는 동물의 이야기를 통해 살아있는 생명체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느낄 수 있다.

 

 

 

마지막 저자가 키운 삼바의 이야기는 저자의 첫 반려견으로 세계 최초의 복제 개 '스너피'를 탄생시킨 대리모란 사실과 무지개다리를 건널 때까지 함께 했다는 사실을 통해  모든 순간을 함께 했던 삼바와의 이별이 어떠했을지 그 마음에 대한 느낌이 와닿았다.

 

 

 

아마 반려 동물과의 이별을 경험해 본 독자라면 정말 가슴에 다 닿지 않을까 싶은데, 문득 먼저 무지개다리를 건너간 우리 갑돌이가 생각난 부분이기도 해서 더 가깝게 느껴진  부분일지도 모르겠다.

 

 

 

그동안 수의학에 관련된 부분은 방송에서 다룬 유기동물에 대한 구조와  아픈 동물에 대한 치료에만 머물렀다면 이 책은  연구를 통해  동물들이 인류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앞으로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들을 던져 준 책이다.

 

 

 

 

***** 출판서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