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편이 없는 자, 이방인을 위한 사회학 - 익숙한 세계에서 낯선 존재로 살아가기
김광기 지음 / 김영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동체란 집단에서 살아가는 것, 그 안에서의 안락함은 도전에 대한 반대의 의미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정착하고 싶은 인간의 나와 같은 생각을 지닌 사람들이 있다면 외부에서 온 타인은 이방인이란 말로 표현된다.

 

이는 곧 토박이란 말과  반대되는 뜻과도 같은 것으로 토박이는 자연적인 태도에 절어있는 상태라고 저자는 말한다.

 

여기엔 자연스럽게 오랜 시간 동안 한 곳에 사는 안정감과 안전함이 주는 삶에서 튀지 않는 행동에 대한  익명성의 유지가 포함된다.

 

이와는 반대로 이방인은 도전적이고 모험을 가진 자다.

 

안주하기보다는 변화를 택하고 육체와 정신적인 모든 면에서 토박이와는 반대되는 역동적인 삶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들이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익숙함에만 길들여진 우리들의 삶은 이방인의 삶보다 못한 것인가?

 

저자는 익숙한 사회에서 안주하기보다는 한발 물러나 그 테두리를 벗어나 이방인의 시선으로 바라볼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나가 살고 있는 사회에 어느 날 문득 나타난 이방인이라 불린 존재들에 대한 생각의 탈피를 벗어나 사회란 집단에서도  결국은 타인과 타인들이 함께 모여 살게 되면서 우리가 되고 그 우리는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이방인에 대한 구분을 짓게 되는 모습들을 통해 이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사람을 아예 안 믿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무턱대고 믿을 수도 없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에 놓인 게 인간이다. 이때 슬기로운 대처법이 있는데 바로 적정한 거리 두기다.

 

-보통 사람은 “다른 사람과 같아지기 위해 자신의 4분의 3을 박탈당하고” 있는 데 비해 천재와 광인은 그런 삶에서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안전함이 주는 온상에서 벗어나 홀로 떨어져 이방인의 시선이 된다면 빈자리에 대한  고독이 몰려올 것이지만 이 고독마저 껴안으며 그 안에서 호흡하고 더 나은 발전의 자세를 이뤄나가려는 노력을 한다면 보다 나은 인간 존재로서의 삶을 이룰 수 있는 영향을 줄 것이란 의미로 다가온다.

 

 

이방인은 결코 나와 다른 의미가 아니며 이방인이 지닌 용기와 관찰을 통해 나은 인간 존재로서 살아가야 함을 일깨워주는 내용은 익숙함이 주는 장점도 있지만 보다 적극적인 삶에 대한 다른 의미로써의 이방인이 필요함을 느끼게 한 책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