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데이아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18
에우리피데스 지음, 김기영 옮김 / 을유문화사 / 2022년 2월
평점 :
소포클레스, 아이스퀼로스와 더불어 그리스 3대 비극 작가로 꼽히는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을 모은 선집이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희곡 형식으로 읽은 적은 있지만 이번에 접한 그리스 문학에서의 희곡은 처음이라 당 시대의 작가가 그린 작품은 어떤 분위기를 드러내는지도 궁금하게 다가온 작품이기도 했다.
총 3 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집은 익히 알고 있는 이름들이 눈에 띈다.
[알케스티스], [메데이아], [힙폴뤼토스] , 이 세 작품 속의 주인공들이 겪는 내용들은 한 편의 막장 드라마처럼 다가왔다는 것이 첫 느낌이다.
남편 아드메토스를 대신해 죽었지만 헤라클레스의 도움으로 다시 환생한다는 알케스티스의 내용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자기 목숨마저 버리길 꺼리지 않는다는 설정 자체가 지독한 사랑에 대한 연민마저 불러일으킨다.
여기엔 신인 헤라클레스조차도 그녀의 행동에 보답하기라도 하듯 다시 삶의 환생을 도와줬다는 사실은 신마저도 인간의 삶에 개입하지 않을 수없었던 과정과 남편인 아드메토스의 이기적인 모습을 통해 알케스티스가 느낀 배반의 감정이 큰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두 번째 이야기인 메데이아는 책 제목처럼 가장 인상 깊게 와닿은 작품으로써 이 역시도 남편인 이아손이 자신을 배신하고 코린토스의 왕인 크레온의 딸 글라우케와 결혼함으로써 복수를 다짐하는 내용이 강하게 펼쳐진다.
여기서도 코린토스의 여인들이 자신들과 같은 여인인 메데이아에게 분노의 칼을 갈지 말하는 대목은 충격적이다.
그저 신만 믿으라고, 신이 당신이 겪고 있는 이 모든 것을 알고 변호해줄 것이란 말은 아무리 위로와 희망에 기대를 걸라는 말이라고는 하지만 당사자의 입장에서는 결코 이해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에 대한 복수가 아이들을 희생함으로써 이아손에 대한 복수를 행했다고 하지만 결국 그녀 또한 비극의 여인이 아닌가?
세 번째 힙폴뤼토스 또한 신과의 관계를 통해 치국으로 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인다.
아프로디테의 분노를 자아내게 한 아르테미스에 대한 숭배와 교제 사실은 계모 파이드라의 간계로 아버지 테세우스로부터 추방당하고 신들의 저주로 인해 죽는 일들은 부모와 자식 간의 믿음을 생각하는 부분들을 드러낸다.
세 작품을 통해 전체적으로 연극을 보는 듯한 장면들 속에 진행되는 대사들, 코러스까지 곁들여져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과 복수, 후회, 여기에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사랑'이란 이름으로 희생, 배신과 모략, 죽음이 동반된 비극이란 점이다.
가장 가까이 믿을 수 있는 가족의 해체가 결국은 비극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흐름은 신이 인간의 삶에 참견하지 않을 수 없게 한 과정, 특히 여성을 바라보는 관점들은 신에 의지하는 연약한 여인, 모든 순리에 따른 순응을 강조하는 대목들은 당대의 여성을 바라보는 관점이 이렇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던져보게 한다.
주인공들의 내면의 갈등을 통해 시대를 막론하고 막장 드라마라고 여겨지는 이러한 비극적인 이야기들, 더 이상 여인들의 희생 어린 삶의 여정은 NO!라고 말하고 싶어지는 작품들이었다.
고전, 특히 인간의 감정에 있어 가장 카타르시스가 높은 비극이 주는 울림, 저자의 인간들의 심성을 대변하듯 전달해주는 대사들이 기억에 오랫동안 남을 것 같다.
***** 출판서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