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염장이 - 대한민국 장례명장이 어루만진 삶의 끝과 시작
유재철 지음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태어나서 한평생 자신의 일생을 살다가 마지막 종착지에 이르는 죽음.

 

염을 마친 후  사랑하는 사람과의 마지막 인사를 나누는 것이 장례절차에서 생전의 마지막 순간이다.

 

 죽은 이의  마지막 모습을 이승에서 유족보다  먼저 대하는 사람, 장례지도사란 이름으로 행하는 절차를 통해 그린 이 책은 우리나라 전통 장례 명장 1호인 유재철 분이 쓴 책이다.

 

 

읽으면서 연신 사랑하는 사람과의 마지막 인사를 하던 때가 생각났다.

 

 

깨끗하고 단정한 생전의 모습을 보인 그 모습을 보면서 이것이 마지막이란 사실이 믿기지 않으면서 통곡하던 그 순간, 어느 누가 이렇게 정성스러운 손길로 해주실까 라고 생각했던 그 순간이 연신 떠올랐다.

 

그분들이 정말 고맙단 생각을 했다.

 

 

 

죽음 앞에선 신분이나 빈부, 명예, 그 외의 모든 것들이 아무 소용없는 공수래공수거임을 다시금 느끼게 하는 그 순간만큼 겸손해지는 순간이 있을까?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 마지막 순간을 함께 했던 이야기를 담은 책의 내용은 64편의 에세이를 통해 진심 어린 글로 독자들을 이끈다.

 

 

1부인 '수천 가지의 죽음의 얼굴'이란 내용에선 무연고자부터 대통령, 이주 노동자, 재벌 총수에 이르기까지 여러 사람들의 죽음의 장례를 이끌면서 겪은 경험담은 비하인드 이야기까지 들려주고 있다.

 

 

2부에선 웰다잉 안내자란 내용으로 죽음과 장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특히 고인과 유족을 돈으로 보지 말라는 스승의 말씀은 장례지도사란  직업인으로서의 책임감을 어떻게 지니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룬 부분이라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염습은 절대 천한 일이 아니다. 산파가 한 인생을 두 손으로 받아줬다면, 염사는 한 인생을 갈무리하여 두 손으로 보내주는 사람이다. 인생사에 꼭 필요한 일이다, 염습에 예법이 존재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정말 고귀한 말씀이다.

 

한 사람의 마지막을 최대한 정중하게 모시는 일, 삶에 있어서 무엇이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지를 일깨워준다.

 

여기엔 살아가면서 깨닫지 못하고 살다 상실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닥쳤을 때의 허망함, 이별의 절차를 통해서 피부로 더욱 와닿는 부분이라 실감 나게 다가왔다.

 

 

또한 우리나라의 장례문화에 대한 변화도 필요함을 느끼면서 읽게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바라보는 장례지도사란 편견을 다룬 부분들은 터부시 하는 시선에 따른 고충과 이분들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서의 서로 상반된 부분들이 죽음에 대한 우리들의 시선을 다시 바라봐야 할 부분임을 느끼게 한다.

 

 

 책을 통해 삶과 죽음의 차이는 결코 크지 않음을, 함께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한 책이라  가볍게 읽을 수만은 없는  죽음에 대한 철학이 담긴 책이다.

 

 

 

 

- 태어날 때 자신은 울지만

주위 사람은 웃고

죽을 때 주위 사람은 울지만

자신은 웃는 그런 사람이

행복한 삶을 산 사람이라고 하네요.

 

 

 

 

***** 출판서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