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언스 픽션 - 과학은 어떻게 추락하는가
스튜어트 리치 지음, 김종명 옮김 / 더난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0/pimg_7136731163313381.jpg)
과학이란 학문이 인간의 삶에 있어 어떤 진실된 확인을 알려주고 이를 위한 끊임없는 실험과 오류의 과정을 거치면서 비로소 인정받을 때 그 가치는 소중하다.
때문에 과학자들의 노력은 비단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닌 더 나은 진보된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지만 만약 과학적으로 진짜라고 판명된 사실들이 실은 비윤리적인 방법이나 부패한 부분들을 통해 가짜란 사실들로 알려진다면 받아들인 우리들은 어떤 마음이 들게 될까?
저자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자 심리학자다.
책에 실린 내용을 읽으면서 문득 떠오른 것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신의 연구 업적에 대한 기대치와 이를 반드시 성공시켜야만 한다는 중압감에서 스스로 용납수 없는 과학적 오류임에도 이를 수정하거나 그럴듯한 연구 포장을 거쳐 성과를 보고하는 장면이다.
과학은 진리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학문이자 실험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에 저자가 밝힌 가짜 실험을 비롯해 데이터 누락, 통계 오류, 심리 조종... 여기에 과장의 실태들을 읽노라면 충격적으로도 다가오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0/pimg_7136731163313414.jpg)
여기엔 우리나라 황우석 박사의 사례를 떠올려보게 되는 부분들 뿐만이 아니라 이러한 옳지 못한 사례들은 올바른 양심의 문제와도 직결된다는 점, 공정성에 대한 물음과 함께 이들의 연구에 대한 방식이 그들을 어떤 방향으로 이끄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부분임을 느끼게 한다.
특히 저자가 이런 과학계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한 '오픈 사이언스'는 과학의 전 과정에 대해서 되도록이면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는 생각의 발상전환과 이를 바탕으로 과학 연구의 정보들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문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란 취지가 눈길을 끈다.
- 수단이 목표가 되면 길을 잃고 만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20/pimg_7136731163313397.jpg)
인간이 하는 과학이기에 오류도 있을 수 있다.
다만 결과를 위해 그 자체의 오류를 알고도 묵인하는 과정은 진정한 과학의 발전을 이루지 못한다는 사실과 함께 과학의 진정성과 합리성을 동반한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 준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