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활인 상.하 - 전2권
박영규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려 말 태의까지 올랐던 탄선은 조선왕조가 들어서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어 불가에 귀의한 자다.

 

 

무당의 수양딸인 수제자 소비를 데리고 의술을 가르치는 가운데 역병이 창궐하고  무당들과 오작인(仵作人: 시신을 다루는 천민)과 합세하여 이 난관을 헤쳐나가기 위해 애를 쓴다.

 

 

 억울한 누명을 쓴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가문이 풍비박산 난 채 형제들과도 뿔뿔이 흩어진 가운데 살기 위해 오작인의 길을 들어선 노중례는 그의 비범함을 본 탄선에 의해 제자로 받아들여지고 의술을 배운다.

 

 

때는 이성계가 조선 왕조를 세우고 외척을 숙청하면서 사건들이 연이어 벌어지던 시기에 백성들의 역병, 한편에선 억울한 누명을 가진 자의 사무친 원한과 복수의 칼날, 여기에 세종이 왕으로 등극하면서 다시 외척의 숙청이 벌어지는 진행이 이어진다.

 

 

하루아침에 관노로 떨어진 노중례가 아버지의 원수를 찾고 복수를 하기 위해  선택한 길은 오작인이란 비천한 직업, 뜻을 이루기 위해선 살아가야만 했으며 이후 오작인이란 숙명과 마의, 의술을 행하는 행보에 이은 한편 소비 또한 자신의 출생 비밀이 밝혀지면서 반전을 보인다.

 

 

활인이란 사람을 살리는 일이지만 작품 속 내용들을 들여다보면 각자가 지닌 활인의 의미는 남다르게 다가온다.

 

 

중례와 소비가  선택한 의술이란 본업에 임하자면 분명 원수라도 환자로서  보면 살려야 한다.

 

 

하지만 자신의 가문을 멸한 자를 가까이에 모셔야 하는 입장, 환자로서 치료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갈라진 마음은 비록 원수라 할지라도 '활인'에 대한 의무를 행하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없는 부분들로 인해 진정한 활인의 의미는 무엇일까를 생각해보게 한다.

 

 

 

 

 

 

그들이 현장에서 부딪치는 딜레마가 의술이란 것을 통해 느낀 부분이라면 세종 또한 군주로서 '활인'에 대한 것은 무엇인지를 깨닫고 실행하는 과정은 또 다른 부분으로써 보여준다.

 

 

 

 

숱한 숙청과 피바람이 부는 과정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정치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 군주의 길은 외롭고 험난한 길임을, 죽음을 마주할 때까지 끊임없이 이루고자 했던 모습은

 자신이 보위에 올라서기까지 숙청의 난을 겪었던 정국을 통해 백성을 살피기 위해선 어떤 활인이 필요한지를 고심하고 깨달아가는 과정을 포함한다.

 

 

 

 

 

"죽어가는 원수를 만나면 너는 어떻게 하겠느냐?"라는 질문에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봐야만 했던 사람들, 그들이 스스로 내린 활인의 모습은 살인을 넘어선 사명감으로 이어진 숙명의 길을 택함으로써 진정한 활인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한다.

 

 

 

사료에 간략하게 등장하는 실존 인물들의 생을  허구의 인물들과 적절히 섞고 살인사건과 그 죽음의 배후를 밝히는 과정에서 밝혀지는 진실들을 쫓는 과정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