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부류의 마지막 존재
시그리드 누네즈 지음, 민승남 옮김 / 엘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와 앤-

 

그녀들의 청춘이 한창인 시기는 1968년이었다.

 

자신과 최대한 다른 세계에서 온 여학생과 함께 지내길 희망했다던 앤, 그래서 현재 이 작품의 화자인 조지와 대학생활을 하게 된다.

 

앤과 조지의  상반된 계층, 부유한 사업가 집안의 외동딸인 앤과 가출한 아버지, 생활고에 시달리며 6남매를 건사해야 했던 엄마의 노동과 삶에 지침, 자식들에 행한 폭력성은 조지가 그 마을에서 유일하게 유명한 사립대학을 들어가게 됨으로써 그곳을 탈출하면서 숨통이 트이게 된다.

 

자신이 갖지 못했던 것을 모두 가진 앤은 조지와는 정반대, 자신의 이름 유래에서 비롯된 먼 과거의 조상의 영향인 이름이란 것 하나로 앤이란 새로운 이름을 고수하고 부모를 비롯한 백인 부유층이 가진 모든 것들이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특히 흑인들의 노동력에서 착취한 대가로 얻은 것에 대해 비난을 거침없이 쏟아붓는다.

 

 

이후 이 둘의 상반된 인생의 갈림길은 달라도 너무나 다른 길을 걷는다.

 앤은 적극적인 대학가 반정부 시위나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를 비롯해 사회적으로 빈약한 계층에 눈길을 돌리고, 조지는 그런 앤의 강한 목표와는 반대로 보통의 삶의 길을 걷는다.

 

1968년대의 급진적인 사회의 변화는 이 둘의 인생을 통해 다양한 주변 인물과의 연계를 통해 섬세하게 그려나간다.

 

앤이 흑인 교사 콰메와의 만남을 통해 그들의 생각을 함께하고 있을 때 조지는 잡지사에서 일하는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가지만 둘의 관계는 어긋나  버리고 그  후 앤의 일은  신문을 통해 접하면서 충격을 받는다.

 

 

1968년대의 히피문화, 마약이 난무하고 반전시위, 민권운동과 우드스톡을 통해 당시 젊은이들의 지향했던 젊음의 상징들...

 

소설 속에는 다분히 하나의 장치로써의 소재가 아닌 당시 그 시대를 살아가던 젊은이들의 모습을 통해 미국 사회 전반의 미묘한 마찰들을  그린다.

 

앤 자신이 자신의 신념대로 교도소에 살면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았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앤은 그 어느 부류에서도 환영받지 못한 존재로 인식되는데, 부유층 백인으로 응석받이처럼 여겨진 시선들, 반대로 흑인들은 알량한 선심 하나로 자신들의 처지를 더욱 드러나  보이게 한 그녀의 행동과 콰메의 죽음 자체도 용서할 수 없는 낙인자로 찍어버린다.

 

법정에서 판사는 앤의 자라온 환경을 통해 응석받이란 점, 세상에 들어맞지 않는 모든 사람들을 경멸하고 증오하는 사람이라 말하고 '당신 부류의 마지막 존재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한다.

 

 

 

 

 

정말 앤은 그 부류의 마지막 존재인가?

 

판사와 변호사의 말을 통해 비교한다면 그들의 생각 차이도 확연히 다름을 느끼게 된다.

 

조지는 앤을 시몬 베유와 개츠비에 비유하는데, 시몬 베유가 걸었던 길과 유사하고 개츠비가 가진 열정과 사랑이 닮은꼴이자 자신과는 다른 길을 걷는 앤에 대한 감정을 드러낸 부분이란 생각이 든다.

 

시대는 변하고 시간도 흐른다.

 

그들의 청춘 시기에 향했던 이상들이 지금에 와서는 희미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것은 앤에겐 어떤 심정으로 다가왔을까?

 

앤이 스스로 교소도에서 자신에게 극도의 절제와 이상에 대한 방향을 멈추지 않았던 그 모든 것들, 만약 모든 이들이 앤의 그러한 진심을 한 번이라도 알아주었더라면 앤도 변화를 시도라도 했을지 궁금해진 부분이었다.

 

어느 시대나 그시대를 관통하는 삶들이 있다는 것을, 그 시대의 존재했던 마지막 부류는 지금도 여전히 부류 하는 존재로써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준 작품이었다.

 

조지와 앤, 그리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인생을 펼친 솔랜지를 통해 여성의 우정과 연대를 그린 작품은 읽는 내내 작가 말대로 혼란스럽고 뜨거웠던 시대를 살아온  그녀들의 인생을 통해 진한 감동과 여운이 가시질 않게 한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