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선샤인 어웨이
M. O. 월시 지음, 송섬별 옮김 / 작가정신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앵무새 죽이기'같은 위대한 소설이란 책 띠지의 문구가 이끌렸다.

 

 

화자인 '나'의 회상이자 누군가에게 자신이 겪었던 경험담을 솔직하고 들려주고 있는 패턴을 유지한 채 '나'가 어른이 됐음에도 여전히 마음 한구석에 담아두고 있었던 이야기, 독자의 입장에서 처음부터 서스펜스처럼 다가오는 장면이 흡입력을 높인다.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주의 배턴루지에서 살던 '나'는 어느 무덥던 날 미제 사건으로 남은 '린디 심프슨' 성폭행 사건으로 얽힌 이야기를 들려준다.

 

 

육상선수로서 모든 학생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린디, 15 살의 린디는 어느 밤 자전거를 타고 집으로 향하던 중 미지의 인물에 의해 성폭행을 당한다.

 

 

짝사랑하고 있던 나는 여러 정황상 용의자 네 명중 한 사람으로 지목이 되고 그 일은 자신이 내뱉은 말 한마디로 인해 린디 사건 전과 후로 나뉘게 된다.

 

 

'강간'이란 말이 내포하고 있던 그 무시함, 섬뜩함에 대한 일말의 염려조차 하지 못하던 시절의 말은 린디에게 더욱 힘든 시절을 드러내고 이는 곧 '나'가 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죄책감과 용서를 구한다는 마음, 짝사랑에 대한 실현이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범인을 잡기 위한 행동에 나서게 된다.

 

 

 

 

언뜻 보면 십 대 시절의 치기 어린 장난기 많은 청소년 14 살의 시절을 회상하는 이야기이자 한 소년이 겪은 인생의 한 중대한 전환을 몰고 온 이야기를 고해성사처럼 내비칠 수도 있는 성장 소설일 수도 있지만 보다 넓은 의미로 생각해 보면 결코 성장소설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좁은 동네에서 살아가는 그 시절, 모든 이웃들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감춰진 내밀한 그들만의 세계는 몰랐기에 '나'가 함께 성장한 친구들의 사연이나 모습과 행동, 여기에 사춘기라는 성장 시기를 거치면서 동경하는 대상에 대한 '사랑'이 집착으로 번지고 이를 계기로 의도한 바는 아니었지만 린디에게 또 다른 상처를 주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사건 전체를 관통하는 '강간'에 대한 키워드는 실제 겪은 당사자인 린디에게 심한 트라우마를 남겼고 한때는 그토록 바라던 가까운 사이가 될 수도 있었을 폰 대화는 결국 '나'에겐 건너갈 수 없는 강이 되고 만다.

 

 

 

'나'가 부모의 이혼, 누나의 죽음과 맞물리면서  힘들게 성장한 시기였다면 린디 또한 그녀 내면에 감춰진 아픔이 다시 수면 위에 올랐을 때의 아픔은 배가 되었음을, 그때의 '나'는 미처 몰랐다는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우리는 타인의 고통을 실제적으로 당한 당사자만큼 느끼지 못한다.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 중점이 아닌 가해자 중심으로 사건을 그리고, 사람들은 이미 익숙해진 형식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자신이 저지른 죄에 대한 해결을 통해 일말의 미안함을 해소하려 했던 행동이자 사과였겠지만  정작 린디가 당한 아픔에 대한,  수면 밑에  드러나지 않은 고통에 대해선 간과했던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모습들이 연민을 자아낸다.

 

 

 아픔은 사랑의 힘으로 치유할 수 있고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 당시에는 전혀 소용없음을, 먼 후일 어른이 되어 회상을 통한 그 시절의 얘기는 가장 뜨거웠던 여름을 보낸 한 소년의 고백으로 인해 강한 인상을 심어준다.

 

 

 사람의 기억이란 자신이 해석한 바에 따라 저장되고 희석될 수 있다는 사실, 린디가 고통스럽게 내뱉은 그 말 한마디는 독자인 나조차도 간과했던 한 부분이었다.

 

 

 

 당사자 자신에겐 그것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나'는 린디의 마음을 알지 못한 채 범인을 잡는다는 의식하에 수시로 사건을 떠올리게 한 것이 다른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는 폭력의 한 형태임을 느끼게 한다.

 

 

-

기억들은 무작위적인 방식으로, 때로는 꿈으로, 어쩌면 스쳐 가는 회상으로, 그 자체로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인 인간의 정신을 예기치 못하게 뒤섞는 것처럼 우리에게 다가온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다는 것이다. -p368

 

 

 

 이는 가족관계, 친구, 사회적인 제도의 허점들을 한 사건을 통해 다각면으로 생각해 보게 한 부분이자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킨 장면으로 남는다.

 

 

 

 

 

그것이 성장을 통해 소년에서 어른이 되어가는 한 길목에 선 과정으로써의 한 부분이었지만, 적어도  나의 이야기를 듣는 청자만큼은 더 성숙한 자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 찡한 감동을 안겨준다.

 

 

 

스릴처럼 여겨지면서도 질풍노도의 시절을 겪는 청소년 시기의 성장소설로써 새롭게 다가설 수 있는 작품, 제목이 주는 의미와 함께 그 찬란하고 뜨거웠던 루지애나 주의 배턴루지에서의 소년 모습이 오래도록 각인된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