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보바리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0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대에 큰 이슈를 일으켰고  오히려 비난을 받았던 작품 중 하나인 마담 보바리.

 

저자 플로베르가 남긴 저작 중 사랑에 대한 의미와 그 사랑을 두고 자신의 인생을 걸었던 한 여인의 이야기를 통해 당대의 관습과 도덕적인 요구에 반한 이야기를 다시 접해본다.

 

 

여러 출판사들이 출간한 작품 속 내용을  통해 익히 알고 있는 주인공 에마의 행동은 홀아비인 샤를과 만나고 결혼하면서 자신이 꿈꾸어오던 환상적인 모습을 기대한 여인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무덤덤한 남편, 결혼한 기혼녀로서 그녀가 할 수 있는 행동반경은 가정에 충실한 아내요 엄마의 모습을 요구하는 것뿐이다.

 

소설책을 통해 꿈꾸던 낭만적인 사랑은 현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갑갑함, 그런 젊은 여인이 외도를 통해 저지른 일탈은 사랑으로 이 모든 것을 이겨나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여지없이 허물어트린다.

 

 

열정적으로 사랑했던 두 남자와의 외도, 두 남자들이 그녀를 대한 행동들은 진실한 사랑이라 믿었던 그녀를 배신하고 이용만 하는 이기적인 모습과 그럴수록 아내의 변화된 모습을 오히려 잘된  방향으로 해석하는 샤를의 눈치 없는 모습을 통해 그 어디에도 안주할 수없었던 한 여인의 초라함을 보게 된다.

 

 

이 작품 속에서 드러난 에마를 통해 페미니즘의 시각으로도 볼 수 있다는데서 작가의 과감한 당시의 관습 탈피를 엿볼 수가 있다.

 

태어날 아기가 남자아이길 바라는 에마의 희망은 어쩌면 여성으로서  자신이 겪는 자유분방함과 결혼 전에 꿈꾸어 오던 모든 것들이 결혼 후에는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한계를 사내아이에게 기대하는 모습이 그렇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각 개성 있는 인물들의 탐욕과 욕망들의 사실적인 표현과 더불어 풍경화를 연상시킨 듯한 모습은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이란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단 설득력을 지닌다.

 

 

 

외도를 통해 결혼생활에 대한 진부함을 벗어나고자 택한 파국이 결국은 그들 부부에게 큰 불행을 안겼다는 점. 가정생활에서 얻으려 노력하지 못했던 에마의 일탈의 과정들을 읽으면서  스스로 파국을 자처한  과정도 안타깝고 남편도 안쓰럽게 다가왔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각인되는 것은 물론이고,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섬세하게 파악해 그려낸 작품, 왜 보바리즘이란 말로 대표되는지를 조금은 알 것 같다.

 

 

흔히 말하는 결혼 3부작으로 일컬어지는 안나 카레니나, 에피 브리스트, 마담 보바리를 모두 읽은 여정이 끝이 났다.

 

 

 

 

 

 

 

 

모두 저마다 각기 당대에서 묵인되는 관습과 사회적인 제도 속에서 자신만의 사랑과 인정 욕구를 받고 싶었던 여인들의 이야기는 오늘날 여전히 결혼이란 제도와 결혼이 주는 의미, 그 안에서 서로가 노력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