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담 보바리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0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8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916/pimg_7136731163113959.jpg)
당대에 큰 이슈를 일으켰고 오히려 비난을 받았던 작품 중 하나인 마담 보바리.
저자 플로베르가 남긴 저작 중 사랑에 대한 의미와 그 사랑을 두고 자신의 인생을 걸었던 한 여인의 이야기를 통해 당대의 관습과 도덕적인 요구에 반한 이야기를 다시 접해본다.
여러 출판사들이 출간한 작품 속 내용을 통해 익히 알고 있는 주인공 에마의 행동은 홀아비인 샤를과 만나고 결혼하면서 자신이 꿈꾸어오던 환상적인 모습을 기대한 여인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무덤덤한 남편, 결혼한 기혼녀로서 그녀가 할 수 있는 행동반경은 가정에 충실한 아내요 엄마의 모습을 요구하는 것뿐이다.
소설책을 통해 꿈꾸던 낭만적인 사랑은 현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갑갑함, 그런 젊은 여인이 외도를 통해 저지른 일탈은 사랑으로 이 모든 것을 이겨나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여지없이 허물어트린다.
열정적으로 사랑했던 두 남자와의 외도, 두 남자들이 그녀를 대한 행동들은 진실한 사랑이라 믿었던 그녀를 배신하고 이용만 하는 이기적인 모습과 그럴수록 아내의 변화된 모습을 오히려 잘된 방향으로 해석하는 샤를의 눈치 없는 모습을 통해 그 어디에도 안주할 수없었던 한 여인의 초라함을 보게 된다.
이 작품 속에서 드러난 에마를 통해 페미니즘의 시각으로도 볼 수 있다는데서 작가의 과감한 당시의 관습 탈피를 엿볼 수가 있다.
태어날 아기가 남자아이길 바라는 에마의 희망은 어쩌면 여성으로서 자신이 겪는 자유분방함과 결혼 전에 꿈꾸어 오던 모든 것들이 결혼 후에는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한계를 사내아이에게 기대하는 모습이 그렇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각 개성 있는 인물들의 탐욕과 욕망들의 사실적인 표현과 더불어 풍경화를 연상시킨 듯한 모습은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이란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단 설득력을 지닌다.
외도를 통해 결혼생활에 대한 진부함을 벗어나고자 택한 파국이 결국은 그들 부부에게 큰 불행을 안겼다는 점. 가정생활에서 얻으려 노력하지 못했던 에마의 일탈의 과정들을 읽으면서 스스로 파국을 자처한 과정도 안타깝고 남편도 안쓰럽게 다가왔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각인되는 것은 물론이고,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섬세하게 파악해 그려낸 작품, 왜 보바리즘이란 말로 대표되는지를 조금은 알 것 같다.
흔히 말하는 결혼 3부작으로 일컬어지는 안나 카레니나, 에피 브리스트, 마담 보바리를 모두 읽은 여정이 끝이 났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916/pimg_7136731163114085.jpg)
모두 저마다 각기 당대에서 묵인되는 관습과 사회적인 제도 속에서 자신만의 사랑과 인정 욕구를 받고 싶었던 여인들의 이야기는 오늘날 여전히 결혼이란 제도와 결혼이 주는 의미, 그 안에서 서로가 노력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