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엄호텔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2
마리 르도네 지음, 이재룡 옮김 / 열림원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장엄 호텔은 할머니가 죽은 뒤부터 더 이상 예전 모습이 아니다.

 

 

 

첫 문장에서부터 눈길을 끄는 문장, 예전 모습은 어떠했는지에 대한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건물, 이름도 알 수 없는 '나'란 화자에 의해 그려지는 작품의 배경은 낡은 호텔이 떠오른다.

 

 

일찍부터 언니 둘과 호텔을 떠나버린 엄마, 엄마의 죽음으로 호텔을 상속받는 대신 두 언니를 부양해야 하는 삶을 제쳐두고라도 호텔이 위치한 장소가 주는 음습함은 늪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할머니가 운영했던 호텔은 지금처럼 여기저기 수리할 부분들의 많지 않은 새로운 건물이었을 시간을 넘어 지금의 '나' 받아들인 호텔은 끊임없는 화장실 배수구 막힘과 이를 뚫어 다니느라 허리를 펼새 없는 시간의 흐름들, 두 언니들의 호텔에 대한 관심사가 없는 점은 말할 것도 없지만 당당하게 나에게 요구하는 사항들이나  서로가 서로를 비난 일색으로 살아가는 모습들은 숨이 턱턱 막혀온다.

 

 

악취 나는 호텔의 건사는 빚을 지게 되고 붕괴, 침수, 여기에 오염과 쥐들의 출현은 방문객은 물론이고 전염병을 옮긴 대상으로 생각하게 된다.

 

 

작품 속에서 진행되는 흐름은 하루하루가 호텔의 누수로 인한 물 막기, 한 곳을 막았다 싶으면 다른 곳이 연일 터지는 노후한 건물의 모습을 유지하려 애를 쓰는 장면들로 채워진다.

 

 

특별한 일이라고 해봐야 철도공사로 인한 기찻길이 늪을 관통하고 세워진다면 호텔에 머물 손님의 객실이 만원이 되길 바라는 희망하는 정도일 뿐 '나'의 생활은 오로지 장엄 호텔 생각뿐인 모습, 하루하루가 지쳐가는 한 인간을 대변할 뿐이다.

 

 

어린 시절부터 병약했던 언니 아다, 배우의 꿈을 갖고 항상 출현하길 기대하는 아델 언니의 모습조차도 호텔에 묶여 더 이상의 어떤 희망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는 매여있는 듯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로 비친다.

 

 

저자가 그리는 끝도 없는 건물의 붕괴 현장, 인간의 인내심을 시험하듯 끈질기게 되풀이되는 연속의 불행한 일들은 인생의 한 부분처럼 다가오는 고통의 아픔을 생각나게 한다.

 

 

호텔임을 알려주는 네온사인만이 그 존재를 알려줄 뿐 사람들이 방문하고 떠나고 오두막마저 자취를 감춘 장소를 지탱하고 있는 것은 오로지 호텔, 호텔뿐인 상황이 끝까지 남아 있어야만 하는 '나'의 심정을 대변해주는 듯하다.

 

 

 

저자의 삼부작 시리즈로 알려진 작품 중 첫 작품이라고 하는데, 읽는 내내 답답함과 늪에서 풍기는 냄새, 파리들, 새의 죽음, 눈까지 쌓인 풍경에서 오는 막힌 공간의 답답함들, 지금도 호텔 어디선가 연신 허리를 구부리며 수리를 해나가는 '나'의 모습이 상상되는 소설이다.

 

 

주위의 환경이 아무리 호텔 근처까지 덮친 악운이 오더라고 그 자리만은 나의 자리인양 우뚝 서 있는 장엄 호텔, 나는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다. 중요한 건 현재뿐이란 작품 속 문장처럼 앞만 보고 살아가야 그나마 일말의 희망이라도 붙잡을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읽는 내내 답답함을 느끼며 읽게 되는 내용들, 우리네 인생 또한 이러한 고비고비를 넘기며 살아간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장엄 호텔이 지닌 상징은 우리들 삶의 모습과도 비슷하단 생각이 들게 한다.

 

 

 

질긴 생명력에 대한 비유를 생각할 수도 있는 장엄 호텔, '나'에게도 해가 비칠 날이 오길 빌어본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