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의 역사 - 비너스, 미와 사랑 그리고 욕망으로 세상을 지배하다
베터니 휴즈 지음, 성소희 옮김 / 미래의창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비너스, 아프로디테-

 

가장 유명한 조각상들 중 하나가 바로 밀로의 비너스가 떠오른다.

 

그렇다면 비너스란 존재는 어떻게 인간들 삶 속에 살아왔는가? 에 대한 변화의 흐름들을 알 수 있는 책을 접해본다.

 

신화에서 다루는 비너스, 아프로디테의 탄생은  대지 여신 가이아의 계획에 따른 우라니아의 성기가 바다에 떨어지고 이내 그 여파의 거품이 사이프러스로 흘러들어 비너스로 탄생했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후 비너스는 지중해로 퍼지면서 각 지역에 맞는 이름으로 대체되는바, 일테면 바빌로니아에서는 전쟁의 여신이자 절대적인 힘을 지닌 '이난다', 아카드 지역의 '이슈타르(Ishtar)', 페니키아에서는 '아스타르테(Astarte)'로 불리며 오늘날 금성으로 불리는 별자리와 연관되는 관계를 지닌다.

 

비너스란 존재의 변화는 시대와 역사를 통해 그 역할과 상징성의 변화를 겪는다.

 

클레오파트라를 비롯한 많은 여인들이 자신들의 치장을 위해 비너스를 모방했던 점은 신으로서 대하는 부분 외에 이를 닮고자 했던 인간들의 욕망을 드러낸 부분이 아닌가 싶다.

 

전쟁의 신이자 욕망의 본성을 지닌 여신이란 경외의 존재감은 성과 폭력의 상징으로 대변되는 시기를 이어 절대적 믿음과 신성함뿐만이 아닌 성에 대한 메타포로써 매춘의 여신이 되기도 했다.

 

 

그리스의 항구 도시와 폼페이에서 신성한 의식처럼 행해진 매춘과 실제 매춘부들의 일들, 비너스의 프레스코화가 출토되는 것을 통해 매춘과 성교의 수호자로 상징이 되기 시작한다.

 

 

- "아프로디테를 바라보는 시선은 여러 측면에서 여성을 향한 시대적 인식을 반영한다. 이 안타까운 이야기는 아프로디테의 신체에 대한 태도가 점차 변했다는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프로디테의 신체는 음탕한 매혹의 대상이 되었다." - p.101

 

 

 

이후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비너스는 종교에선 이도교처럼 상징되고, 문학적인 소재로, 정치적으로 비유되며 예술적인 면에서 기존의 신성했던 이미지를 벗어나 옷을 입지 않은 조각상을 필두로 많은 작품의 소재로 등장한다.

 

 

 

 

 

 특히 기독교 풍토 속에서 이를 거부했지만 결국 살아남은 비너스는 동정녀 마리아의 외피를 두르고 재탄생했다는 점은 오랜 시간을 통해 인간들의 삶에 투영해온 비너스란 존재의 발현이 결코 시들지 않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식민지 제국시대를 통해서나 현재의 유행 가수들이 차용하는 비너스의 소재는 노래에 이어 자신을 드러내는 표현의 한 소재 부분으로써, 여성 인권이란 부분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파리스의 결과를  얻기 위해 옷을 벗은 아프로디테, 전쟁의 화신(트로이의 전쟁)이자 성에 대한 욕망의 대상, 그런 경외의 대상이 평범한 우리들 곁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조각상의 모습으로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흐름들에  이르기까지, 여신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5천 년 전의 '렘바의 여인상'에 이은 여신이란 존재의 변형은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인간이 가진 욕구와 욕망, 질투, 전쟁의 화신이란 모든 감정을 내포하고 드러냈던 비너스, 여신의 역사를 통한 기록들을 보면서 우리 인간들의 모든 감정들을 다스리고 진정한 인간관계를 추구함에 있어 무엇이 필요한 부분인가를 생각하게 한 책이다.

 

 

 

신화와 인류의 문명 태동, 그 안에서 일어났던 과거의 역사 발자취를 함께 했던 비너스란 존재가 앞으로도 우리들 곁에 불멸의 존재로 남게 된다면 과연 어떤 변화로 우리들 곁에 있어줄 것인지, 그 존재감의 행보가 궁금하게 다가온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