핏빛 자오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8
코맥 매카시 지음, 김시현 옮김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글들을 접할 때마다 느끼는 부분들, 즉 거칠고 메마른듯한 문장으로 다가오는 저자의 작품 속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나의 감정도 텁텁함을 넘어 무언가를 갈망하는 듯한 감정에 들어서게 된다.

 

이번에 접한 이 작품 또한 그러한 범주에 드는 작품, 이 작품 이후 국경 3부작으로 연관될 수 있는 작품이다.

 

미국의 개척사야 여러 책들과 영상을 통해 지극히 미국적인, 미국인의 시각으로만 다뤄졌다는 점에서 독자들은 인디언과의 싸움에서 광활한 대지를 차지한 그들의 역사를 이미 알고 있다.

 

이 작품 속의 배경 또한 동부에서 시작한 개척의 범위가 서부로 이어지면서 멕시코와의 전쟁을 통해 더 많은 땅을 확보하는 성공을 이룬 시기를  토대로 한다.

 

이름도 모르는 한 소년이라고만 칭하는 주인공, 테네시 집을 떠나 여러 도시를 전전하다 대위가 이끄는 군대에 들어가기도 하지만 그들의 운명이 참혹하게 마무리되자 소년은 글랜턴이 이끄는 무리에 합류를 한다.

 

인디언의 머리를 원하는 주지사와의 약속으로 싸움을 하는 그들, 감각의 상실성은 바로 이런 것이다로  해석될 수도 있는 무참한 공격과 일명 머리가죽 벗기기는 서부란 무대를 통해 인간들이 저지를 수 있는 온갖 만행을 행하는 절차처럼 보여준다.

 

특히 힘없는 노인, 어린아이, 여성들은 말할 것도 없고 인디언 외에 멕시코인, 백인 할 것 없이 살인을 통해 그들이 갖고자 하는 모든 것을 이루고자 한 행위들은 인디언들이 백인들에게 보복행위를 통한 비참한 역사의 한 장면을 이루게 한다.

 

특히 이들 무리에서 독보적인 인물인 판사 홀든을 잊을 수가 없게 하는데 진정한 법의 판결을 내린 판사인지, 아니면 사기꾼인지조차 모호한 인물로 이들의 리더인 글랜턴보다는 오히려 판사가 보인 행동들이 리더처럼 여겨질 정도의 강한 힘을 발휘한다.

 

지식인처럼 보인 판사의 말과 행동 이면에서는 오히려 약탈자로서의 강한 면이 도드라진 부분들, 일테면 화약이 떨어져 인디언들의 추적을 당하는 위기의 장면에서 보인 부분에서 자연에서 채취한 재료로 화약을 만들고 공격에 나선 장면은 소름이 끼칠 정도의 인간의 악함을 보인 부분이었다.

 

서부의 개척사가 이런 과정을 거쳐 완만한 토대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저자가 그린  작품 속의 세계는 그야말로 약탈과 폭력이 난무하는 연대기 그 자체요, 국가의 확실한 개입이 없던 시대에 이루어진 모든 군상들의 처참한 인생 행보를 보였단 점에서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후반부로 갈수록 글랜턴이 죽고 판사와 소년의 대결 구도로 흘러가는 과정 속에 보인 부분들, 시간이 흘러 어른으로 장성한 소년은 과연 무엇을 느꼈을까?

 

타 문학작품에서도 보인 인간의 메마른 감성과 환경에 수긍하되 결코 수그러들지 않은 인간들의 본성을 잘 그려낸 작가의 작품들은 이번에도 그런 감성을 충분히 느끼기에 모자람이 없단 생각이 들게 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