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1
아니 에르노 지음, 김선희 옮김 / 열림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을때 어쩌면 이렇게도 지독한 현실적인 일들을 쓸 수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들 때가 있다.

 

그것이 설혹 창작이란 무게에 힘을 실어 상상력을 덧댄 일이라할지라도, 특히 이 작품처럼 저자 자신의 실제 경험을 담아 쓴 글이라면 더 말할것도 없지만 말이다.

 

치매에 걸린 엄마를 바라보는 딸의 시선, 그 딸의 시선에 따라 시시각각 변해가는 엄마의 모습을 통해 곧 자신의 모습이 될지도 모른다는 자각,은 엄마를 대했을 때의 공포감과 자식으로서의 자책감들이 모두 들어있는 작품이다.

 

현대인들의 망각 중 최고의 병이라고 일컫는 치매, 실제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모르는 치열한 사투의 현장이라고밖에 표현 할 수없는 병마와의 싸움은 주위 사람들의 삶마저 피폐하게 만든다.

 

특히 더 이상 모실 수없는 상황에 닥친 저자의 엄마처럼 매주 병원에 가서 얼굴 마주보고 운동시키고 목욕시키면서 손톱깍아주는일 밖엔 할 수없을 때의 죄책감을 느끼는 감정,  엄마의 머릿 속에 남아있는 유일한 딸의 기다림은 어떤 때는 정상적인 말을 내뱉을 때도, 그렇지 못한 지난 과거의 회상일을 반복적으로 내뱉을 때마저도 모두 죄책감을 동반한다.

 

저자의 글의 특성상 많은 여백의 여운이 남는 문장 스타일이라 치매란 병을 대하지 못한 독자라도 충분히 그 심정을 느끼게 되는 부분부분들이 가슴 속에 멍울진 느낌을 밖으로 도출시킨다.

 

일년이 다르게 변해가는 엄마의 신체적 변화의 모습은 차라리 이런 모습일 바엔 돌아가시는 편이 낫겠단 생각이 들다가도 현재 살아있음에, 살아주셨으면 하는 간절한 이중성의 잣대에 기울인 솔직한 마음들이 심장을 도려낸 듯 다가온다.

 

부모가 나를 키운 것에 비한 정성에 비한다면 자식들은 부모만큼 해내질 못한다.

 

자연의 이치상 아마도 이런 것이 내리사랑이란 것이겠지 하면서도 이 책을 읽는 동안 먼 훗날이 아닌 바로 도래할 나의 모습을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진 저자의 내면 고백은 시종 죄책감과 고통수반이란 감정을 동반함으로써 그 누구에게도 시원스럽게 표현해 내지 못하는 아픔을 드러낸 글들이 너무도 아프게 다가왔다.

 

 

-  나는 어머니가 타고 있는 휠체어의 제동 장치를 확인하려고 몸을 구부리고 있었는데 어머니도 몸을 숙이더니 내 머리를 껴안았다. 어머니의 이 몸짓, 바로 이 사랑을 나는 한동안 망각한 채 지내왔다. 이 사랑의 몸짓을 잃고서도 어머니는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다. 어머니, 나의 어머니는.- P. 144


 

삶을 관통하는 출생과 죽음 사이의 중간에서 살아가는 우리들, 저자의 엄마는 끝까지 자신의 삶을 놓치고 싶지 않았던 강인한 인내력을 가진 여인이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지만 신체적인 노화의 순리는 그 누구도 거스를 수없는 자연의 이치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에 쓴 문장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기억에 남기고 싶어하지 않았을까?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Je ne suis pas sortie de ma nuit)

 

 

더 이상 글을 통해 엄마에 대한 이야기를 쓴다 것 자체에 대해 아픔을 느낀 저자였지만 글을 쓴다는 행위 또한 엄마의 죽음을 마주한 상실감을 극복할 수있다는 두 가지의 감정들을 내포한 작품, 책을 놓고서도 한동안 먹먹함이 가시질 않는다.

 

 

 


***** 츨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