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 없는 살인자 ㅣ 파비안 리스크 시리즈 1
스테판 안헴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21년 6월
평점 :
제2의 '헤닝 망켈', '스티그 라르손'이라 불리는 작가로 불리는 스테판 안헴의 작품, 일명 '파비안 리스크'시리즈 중 첫 번째 작품을 만나본다.
스톡홀름 범죄수사국 강력한 형사로 고향으로 가족들과 돌아온 그는 바로 짐을 풀 시간도 없이 사건에 참여하게 된다.
기술 고등학교 선생님이자 자신과는 동창인 예르겐이 자신의 학교에서 손이 잘린 채 살해되고 그 현장에선 살인마가 남긴 피해자의 얼굴을 지워버린 반 단체 사진이 남겨져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파비안은 과거로의 기억을 더듬는데 폭력을 재미로 일삼았던 아이란 기억이 채 마르기도 전에 곧이어 예르겐과 단짝이자 함께 힘을 일삼았던 글렌마저 살해된 채 참혹한 모습으로 발견이 된다.
모두 학창 시절 그들이 즐겨 다뤘던 신체인 손과 발이 잘린 상태란 점은 그들로부터 괴롭힘의 대상이었던 클라에스 메비크에 집중이 되고 그의 주거지 파악에 집중한다.
하지만 그의 존재는 감쪽같이 사라졌고 예르겐의 차량 추적 조회를 통해 또 다른 인물인 루네 슈메켄이란 외과 의사 차량을 통해 사건의 전모가 서서히 드러날 즈음 루네마저 역시 상상을 초월한 모습으로 죽은 채 발견이 된다.
사건의 유력 용의자가 살해된 상태에서 사건의 주요 쟁점인 가해자가 피해자가 된 사건은 누가 범인인가에 대한 의문으로 진행되고 점차 파비안의 학창 시절의 반 학생들의 신원 조회로 어어지는 가운데 덴마크 경찰과의 협동 수사는 난관에 부딪치게 된다.
유명인들에 대한 가십거리에서 폭언에 가까운 댓글보다 무서운 것은 무반응, 무 댓글이란 것을 읽은 적이 있다.
존재는 했으나 그 존재감을 주위에서 알지도, 느끼지도 못한다면? 살아도 살아있는 것이 아닌 존재감이란 의미에서의 박탈감은 특히 청소년기에서 큰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인 설정으로 독자들의 시선을 이끈다.
특히 학원폭력의 대상으로 찍혔던 학생이 당했던 그 비참한 자존감의 하락과 담임 선생님을 물론이고 반 아이들까지 말리지 않은 채 지켜보기만 했다면 당한 당사자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당연하게도 독자들은 파비안처럼 심증을 갖고 있었던 용의자마저 죽었을 때의 궁금증 폭발을 저자는 이후의 범인의 생각을 드러낸 글과 파비안의 사건 진행과정을 통해 걷잡을 수없는 몰입감으로 이끈다.
- 내가 말했지만 듣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내가 물었지만 대답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보이지 않는 사람이(p- 393)
일명 얼굴 없는 자의 복수심은 동창생들을 하나둘씩 찾아내 죽이는 철저한 계획으로 변해가고 왜 그토록 친구들을 향한 증오심을 갖게 되었을까? 에 대한 의문은 더욱 증폭된다.
-자신의 존재를 아무도 신경 쓰지 않으니까 자기 자신을 보이지 않는 사람이라고 부른 거군요. 그게 이 모든 일을 시작한 동기고요. 무시당하고 버려졌단 느낌이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가장 끔찍한 감정 가운데 하나라고 하잖아요. (p-395)
읽으면서 살인자가 내뱉는 심경은 자신을 이미 없는 존재처럼 여겼기 때문이란 것만으론 이해를 하기엔 좀 어려웠다.
다만 무관심에 대한 증오가 잠재적으로 잊혔다가 어느 계기로 인해 다시 부활한 상황이란 점에선 이해를 할 순 있지만 만일 그가 전적으로 이룬 학업 성적이나 사회적인 성공에 비교해 이런 일들과 부합해 벌인 일이라면 사이코패스란 말밖엔 표현할 길 없겠단 생각이 들었다.
한 반의 동창생들 중 살아남은 자가 극소수에 이를 만큼 무서운 사이코패스 성향을 보인 사건들, 특히 저자가 작품 속에 그린 일기장과 파비안의 부자 관계의 복선은 또 하나의 성장기에 있는 아들을 둔 아버지란 위치와 자신이 학창 시절 행동했던 모습이 겹치면서 그린 진행으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600페이지가 넘는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오래간만에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을 만큼 몰입도가 좋은 작품, 북유럽만의 느낌이 풍기는 파비안 리스크 시리즈에 대한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스릴의 연이은 장면을 즐겨보고 싶다면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
***** 출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