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관에 간 해부학자 - 명화로 읽는 인체의 서사 ㅣ 미술관에 간 지식인
이재호 지음 / 어바웃어북 / 2021년 7월
평점 :
같은 작품을 보더라도 관점을 어디에 두고 보고 느끼는가에 따라 그 작품은 달리 받아들이게 된다.
미술관의 작품을 통해 다양한 주제로 접근한 책 시리즈, 이번에 해부학자가 바라본 미술 작품의 세계다.
명화 속에 담긴 해부학이라, 첫 장을 펼치는 순간 이미 명화는 물론이고 신화 속으로 흠뻑 빠져든다.
해부학이라고 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를 떠올리게 되는데, 명화 속에 담긴 인간 신체에 대한 미세한 표현들이 바로 해부학의 발전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피에타에서 표현되는 실핏줄의 표현을 통해 작품 전체에 대한 남다른 감상을 느끼게 되는 조각상, 시체 곁에서 심장의 각기 다른 방향으로 그림을 그린 다빈치, 메멘토 모리를 생각할 수 있는 해골을 통해 인생의 덧없음을 표현한 정물화들은 하나의 작품 속에 드러난 신체를 통해 해부학적으로 더 들어가 인체에 대한 신비를 경험해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신화 속에 담긴 님프의 이야기를 통해 인체 속의 실제 장기 이름들인 림프절이라든가 시각장애를 딛고 명화를 남긴 고호와 모네를 통해서는 안구에 대한 이야기를, 명화 속의 낫을 통해 인간 장기인 간과 뇌, 적혈구의 구분은 해부학이 없었다면 화가들 자신조차도 이런 작품을 남기기는 힘들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특히 라오콘 상에 대한 이야기에 담긴 잃어버린 팔의 위치와 근육을 제대로 말한 미켈란젤로의 정확성과 코르셋 착용으로 인해 자신의 심장의 위험을 알아챌 수없었던 시시 황후의 이야기, 베살리우스가 첫 번째 목뼈에 아틀라스란 이름을 붙인 경우는 신화 속의 내용과 겹쳐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이처럼 가장 아름답고 신비롭다는 인체, 그 인체가 지닌 저마다의 특징을 그림으로 표현해 낸 화가와 조각가들의 솜씨도 놀랍지만 해부학이란 학문이 침체기를 거쳐 다시 전문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고 이를 토대로 화가들이 손에 탄생한 명화를 통해 그 진가를 발휘한다는 점에서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해부학과 예술의 세계, 예술품을 바라보는 눈을 높여줄 교양서를 통해 또 하나씩 배워간다.
***** 출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