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
이선영 지음 / 비채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악이란 말이 있다.

 

사회 안에서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일들은 무수히 많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연일 기사로도 오르내리는 불편한 사건들은 이 책을 통해서도 그 체감을 여실히 다시 느껴보게 한다.

 

경기도 가평 청우산에서 한 여자가 변사체로 발견된다.

시일이 오래 흐른 것처럼 악취를 동반한 변사체는  좌천된 형사 백규민이 현장으로 가면서 맡게 된다.

 

실족사인지, 자살인지, 타살인지에 대한 모든 정황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하던 그는 실종신고를 토대로 사망자 오기현의 언니인 윤의현을 만나게 된다.

 

기억조차도 할 수 없는 유아시절, 부모의 이혼과 엄마의 재혼으로 서로 다른 성을 갖게 된 자매, 언니 의현은 죽은 동생의 의붓아버지인 오창기를 범인이라고 암시한다.

 

그 일대에서 화원을 운영하며 유지로서 막강한 힘을 발휘하는 오창기, 마을 사람들 사이에선 뭔가를 알고 있는 듯하면서도 섣불리 발설하지 않는 분위기 탓과 오창기 살인 사건이 다시 벌어지면서 이 사건은 미궁에 빠진다.

 

한편 대학에서 시간강사로 출강하는 의현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추문의 대상으로 오르내린 한 교수가 다시 복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 사실을 폭로한 학생을 도우려고 방송의 힘을 빌린다.

 

서로 전혀 상관이 없을 듯한 두 가지의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사회악으로써 단절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드러낸다.

 

오창기가  힘의 권력을 앞세운 변태성의 행동들은 기현을 의붓딸이 아닌 여자로서 상대했다는 성폭력의 가학성, 고아인 신명호를 사람들 앞에선 자식처럼 거둬들였단 명목으로 노예 부리듯 부리고 눈까지 실명하게 하며 알 수도 없는 약물을 통해 조정하는 행태는 당연히 죄를 받아야 마땅하지만 그에게 당한 두 사람은 그럴 수가 없었다.

 

사회약자들에게 그들에게 보호를 해주고 사실의 판단 근거를 통해 형을 구한다는 법 체계는 사실 이 마을에선 통하지 않는 허점을 보인다.

 

사회의 법을 이용해 신고를 했어도 자신이 거둔 힘을 이용해 이를 무마시킨 오창기나 경찰서의 사람들, 마을 사람들조차도 그의 여자로 살아간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자신들의 생계가 그의 손에  좌지우지한다는 데서 오는 모르쇠의 방관의 패턴은 두 번 죽이는 일이란 생각마저 들게 한다.

 

여기에 더해 대학에서 벌어지는 학과의 특성상 교수의 힘을 무시할 수 없는 학생들의 위치를 이용해 자신의 성추행 사실을 무마하려는 자의 안하무인격인 행태는 두 가지 사건이 어떻게 맞물리면서 사건의 진범이 드러나는지를 그려낸다.

 

규민, 기현, 의현, 명호의 성장과정은 모두가 평범하다고는 할 수 없는 환경에 노출되어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삶을 통해 가정폭력, 아동학대, 성폭력, 성추행이란 명목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분노를 저자는 작품 안에 등장인물들을 통해 드러내 보인다.

 

직접 가한 상대도 나쁘지만 제삼자의 입장에서 모른 채로 지내는 것 또한 폭력의 다른 이름이란 생각도 들게 한 책이었다.

 

어쩌면 범인이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이란 상황이 이해가 되는, 믿었던 사람에 대한 배신감은 자신이 당한 일 외에 더욱 큰 상처로도 다가왔을 것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증오하면서 사랑한다'는 유서 속에 담긴 이 문장이  가슴 아프게 다가온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