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황제 열전 - 제국을 이끈 10인의 카이사르
배리 스트라우스 지음, 최파일 옮김 / 까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부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로마 제국을 이끈 10인의 카이사르에 대해 다룬다.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네로, 베스파시아누스,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콘스탄티누스)


동, 서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분리되는 과정 속에서 로마제국이 미친 유럽사는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로마란 주제를 가지고도 다양한 주제를 나눌 수 있는 만큼 이 책에서는 대표적으로 로마제국을 다스린 황제 10인에 대한 주요한 점들을 다룸으로써 로마란 세계 속으로 빠져들어보는 시간을 가진다.


저자의 전공을 통한 황제들의 이야기는 우선적으로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부터 시작한다.

그가 아우구스투스란 칭호를 달기까지 이룩한 로마제국의 초석은 물론 이전의 카이사르가 행한 일정한 부분들의 은혜를 받은 것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그는 자신만의 교묘한 철학으로 진정한 승자로서의 권력을 지니되 그것을 겉으로 드러내 보이지 않는 정치적인 능수능란함을 보인 황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가 그린 황제들의 면모들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권력욕에 대한 야망이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권력이 지닌 막강함의 힘을 알고 있었던 그들이기에 어쩌면 자신만의 독보적인 권력을 누리기 위해서는 가까운 주위 사람들, 심지어 아들, 사돈까지 죽이는 행태는 '왕'이란 자리에 대한 것이 어떤 것인지를 여실히 느끼게 한다.


그렇기에 자신을 알아주고 자신의 모든 생각들을 실천해줄 수 있는 친구이자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은 하나의 행운을 지닌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자신의 원대한 포부가 있다고 할지라도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주위의 사람들이 없다면 로마 제국의 황제란 이름으로 내세웠던 정치를 원만히 풀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아그리파나 수라 같은 든든한 동지를 곁에 두었던 황제들은 행복한 편에 속한다.


특히 두 가지 점에서 눈에 띄는 부분 중 하나인 당시 로마란 제국 안에서 여성이 지닌 힘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되는데 정치적으로든 애정으로도 맺어졌든 로마 안에서 여성들이 취할 수 있는 극히 제한적인 힘에 대한 부분들을 십분 활용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사족을 붙이자면 너무 콩가루 족보라 헤매는 건 기본으로 넘어가야 할 듯하다.)


아우구스투스의 부인인 리비아나 셉티우스의 부인 돔의 경우나 황제 곁에 있으면서 차후 황제 선정의 경우에도 가담하거나 아들 대신 섭정 정치를 한 경우나, 그녀들만이 누릴 수 있는 최대한의 권력을 로마제국 안에서 황제를 좌지우지할 수 있었던 일정 부분에 대한 부분들이 인상적이었다.


두 번 째는 혈연을 중시했던 로마 제국이었지만 인력으로 안됐던 부분들은 과감하게 이탈리아 안에 살던 로마인만을 대상으로 황제를 등극시키지 않았던 실용성이다.


각 챕터마다 황제를 표현하는 부제 격인 창건자, 폭군, 엔터테이너, 아프카인... 이란 것을 통해 피를 통한 내전기나 전쟁을 통해 등극했지만 어쩔 수없었던 선택이었다 할지라도 로마인이란 한정에 갇혀 있지 않았던 다양한 체계를 통해 그들만의 능력을 인정해 준 부분은 또 다른 로마제국에 대한 인상으로 남는다.







10인을 대표하는 황제로 축약되었지만 그 중간에 잠시나마 황제 자리에 머물렀던 인물들에 대한 내용도 들어있어 알고 보면 로마제국 전체의 황제를 다뤘다고도 할 수 있다.


주된 황제로 등극하기까지의 과정과 당시 직면했던 통치의 현황, 여인들, 그리고 그들이 추구했던 정책이 후에 끼친 영향까지를 다룸으로써 전반적인 그 시대의 흐름을 쉽게 알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책이다.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네로, 명상록으로 유명한 마르쿠스 아울렐리우스,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이르기까지 주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라 방대한 로마사에 대한 부담을 가진 독자라면 우선 이 책을 시작으로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주된 정치에 관한 부분들이 많이 할애되어 사회, 경제 문화, 그 밖의 다른 부분들이 부족하단 아쉬움을 주지만 그럼에도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 출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