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엔드 오브 타임 - 브라이언 그린이 말하는 세상의 시작과 진화, 그리고 끝
브라이언 그린 지음, 박병철 옮김 / 와이즈베리 / 2021년 2월
평점 :
우주라는 거대한 망망대해 속에 작은 별에 지나지 않는 지구, 그 지구를 포함한 우주의 생성과정과 작은 별들의 소멸들의 신기한 과정들을 읽노라면 여전히 인간이 작은 존재임을 느끼게 된다.
칼 세이건 이후 과학대중화 전도사라 불리는 브라이언 그린의 신작 '엔드 오브 타임'에서는 이러한 시간의 흐름이 시작되고 종말이라 불리는 순간에 이르기까지를 인문학적인 내용을 포함해 들려준다.
책에는 우주의 생성과 앞으로 어떤 여정을 통해 가야 될지를 다룬다.
인간, 생명, 의식, 종교, 예술, 죽음... 다양한 주제를 통해 그려낸 빅 히스토리는 " 그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라는 말로 드러낸다.
여기엔 엔트로피와 진화가 관련이 있음을 말하는데, 엔트로피란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 증가 법칙으로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존재하다 소모되는 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나 인간들도 언젠가는 사라질, 유한의 존재는 아니기에 여기에 행성, 별, 태양계, 블랙홀 모든 것이 같은 운명을 맞는다고 한다.
특히 저자는 무질서해지는 우주에서 질서가 잡힌 구조가 형성될 수 있었다는 것은 엔트로피 2법칙에 의한 과정 덕분이라고 한다.
엔트로피의 춤으로 붙여진 설명으로 이어지는 논리는 쉽게 우리 인간들의 의식과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생명의 탄생 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빅뱅의 이야기를 다룬다.
끝없는 빅뱅의 과정이 끝나면 진화로 이어지는 과학과 종교의 의미가 모두 함축된 장으로 넘어가며 스토리텔링의 탄생을 통한 종교에 대한 기초가 되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보다 발전되어가고 있는 과학의 세계에서 다루는 힉스의 논리는 힉스장이 발견이 되면서 물리학의 새로운 정점을 이루고 있지만 이 또한 힉스장 값이 변하는 확률이 발생된다면 기존의 논리는 또한 새롭게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문학작품이나 영화 속에서 다루던 우주의 세계와 상상으로 생각되던 지구 건너 어느 별이 있다는 설정들이 실제로도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던진 책, 특히 영화 <테넷>의 엔트로피를 다룬 부분, 인터스텔라가 많이 떠오른 책이다.
딱딱하고 어렵다고만 느끼던 물리학의 세계를 과학자의 시선이자 인문학의 범위까지 넓혀 보인 내용들은 실제 사례인 동전, 커피를 곁들여 설명해 주고 있어 쉽게 읽을 수가 있다.
기초적인 물리학의 용어와 이해만 한다면 재밌게 읽을 수 있는 책, 한번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
***** 출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