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키호테 1
미겔 데 세르반테스 사아베드라 지음, 안영옥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에 읽었던 돈키호테라 함은 풍차와 싸웠던 이상한 기사로 기억이 된다.

그런 기억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일부 작가들이 쓴 세르반테스나 돈키호테가 다녔던 지역, 그가 살았던 지명을 찾아 나선 글들, 특히 산티아고 순례길을 다닌 작가들의 글에서 많이 나오기에 친숙함은 마치 이웃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넘친다.




이번에 본격적인 돈키호테의 방랑기가로 해야 할까, 어쨌든 그와 함께 여행을 함께 다닌듯한 이러한 느낌을 가져보며 읽은 적이 얼마만이지...


라만다 지역 어느 마을의 이달고 출신의 키하다 또는 케사다라 불리는 하급 귀족 출신의 어느 영감님(?) 이 기사소설에 파묻혀 지내다 못해 그 자신이 직접 편력기사가 되어 모험을 떠나는 첫 시작부터가 흥미진진하다.


삐쩍 마른 말에겐 로시난테란 이름을 붙여 주고 마을의 농부인 산초를 꼬드겨 종자로 삼고 그에게 자신이 왕국을 차지하면 섬 하나를 주겠다는 약속하게 떠나는 여정은 처음엔 혼자 나섰다가 객줏집에서 엉터리 기사 작위를 받고 집으로 오면서 다시 떠난 두 번째 여행에서  산초와  동행하게 되니 그 둘의 콤비는 그야말로 지금 시대로 비쳐보면 개그맨 콤비는 이름도 내밀수 없을 정도로 배꼽 빠지는 연출을 이룬다.







웃음의 코드란 것이 직접 자신의 몸을 불살라 대중에게 각인시켜 웃기는 방법이 있는가 하면 뜻하지 않게 툭 튀어나와 버리는 말과 행동들을 통해 대중들에게 한바탕 웃음을 주는 경우가 있다.



비록 돈키호테가 망상에 절어 풍차를 기사로 오인하고 싸우거나 객줏집에서 벌어지는 난동들을 통해 얻어맞고 때리고 다치는 것은 비교적 양호한 편, 대야를 투구로 생각하거나 마을의 여인을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으로 둔갑해  사랑하는 모습들은   이런 장면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시원한 웃음을 주지만 읽다 보면 과연 돈키호테는 미치광이인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정작 그가 미치광이에 빠지는 장면들은 거의가 기사 소설을 읽던 그 부분과 겹쳐지면서 벌어지기 때문에 그가 편력 기사란 것을 통해 진정한 구속이 아닌 자유인으로서의 행복감, 시대의 흐름 속에 살아가는 모습들을 통해 각기 다른 사람들의 만남과 그들이 겪은 이야기들과 함께  작가 자신의 생각을 반영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특히 기독교란 종교와 함께 하는 당시 시대의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갖는 이교도에 대한 차별, 여성으로서 가정과 바깥세상에 참여가 원활하지 못한 점, 사랑하지만 서로 다른 배경 때문에 속앓이를 하는 모습들, 특히 죄인들의 사슬을 풀어주는 행동은 겉으로 볼 때는 기막힌 미치광이의 또 다른 시작이구나 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그 안에 담긴 그들에게도 조금의 자유를 주고 싶었던 돈키호테의 생각이자 세르반테스 본인의 생각이 들어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이러한 점들은 포로가 들려주는 지나온 세월의 역경 속에서  세르반테스가 직접 겪었던 노예생활을 그린 부분에서 더욱 자유란 가치에 대해서 느껴 볼 수 있었던 만큼 자의에 의한 편력기사의 모험을 했지만 결국 작가 자신이 그려보고자 했던 당시 스페인이란 나라가 처한 상황들, 주변국들과의 환경, 그리고 뭣보다 가장 중요한 인간의 행복함은 무엇인지를 들려준 책이 아닌가 싶다.


그렇기에 1부에 해당되는 이 책의 내용이 집으로 돌아오게 되면서 산초가 부인에게 말한 부분들은 의미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 편력기사의 종자가 되는 것보다 세상에 더 즐거운 일은 없다....



언제라도 다시 떠날 수 있는 자유의 영혼 돈키호테, 10 년의 간격을 두고 출간된 2부에서는  그 이후의 그들의 여정에 어떤 모험들이 기다리고 있을지, 정말 혼자 읽기 아까운 작품이다.





***** 출판사 도서 제공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